|
한국 산업 규격(KS B4920 - 1995) 금형용어
금형공업은 영어문화권에서 발전하여 일본을 통하여 도입된 탓으로 금형업계 현장이나 연구기관, 학교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각기 다르게 표현되고 있습니다. 예를들면 "Ejector Pin"을 표기할 때 이젝터핀, 에젝터핀, 밀핀 등 여러 가지 용어로 사용됨으로써 많은 혼란이 야기되어 금형용어의 표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하게 된 것입니다. 우리 조합은 금형업계 현장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는 금형용어를 통일화 하기 위하여 금형업계, 금형수요업계, 금형학계, 국어학회 전문가로 구성된 금형용어표준화심의회를 구성하여 '94. 3월부터 9월까지 6개월간의 조사연구작업을 거쳐 총 3,500여 용어중 712개 용어에 대하여 금형용어표준화(안)을 마련하였습니다. 금형용어의 효율적인 전파와 표준어 정착을 위하여 조합에서는 공업진흥청에 표준용어 제정을 요청하여 683개 용어가 KS 규격으로 제정되었으며, 교육부에 요청하여 대학교, 고등학교 등 금형관련 교재에 금형표준용어를 사용케 하였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금형업계 현장 종사자에 대한 전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금형표준용어 사용이 매우 미흡한 실정입니다. 이에 조합에서는 『KS 금형용어집』을 발간하여 배포하오니 업계 현장에서 올바른 표준용어 사용운동을 적극 전개하여 표준용어가 하루빨리 정착될 수 있도록 널리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999. 7.
|
|
번 호 |
용 어 |
정 의 |
대응 영어 |
100.001 |
캐버티 |
성형용 금형에서 성형되는 공간 부분 |
Cavity |
100.002 |
코어 |
성형품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돌출 부분, 즉 플런저, 언더 컷부를 성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금형 부분, 압출 성형용 금형에서 중공체를 성형시키기 위한 내부형, 금형 내의 냉각수 홈이나 히터용으로 뚫은 구멍, 샌드위치 구조의 심재 |
Core |
100.003 |
아이 볼트 |
머리 부분에 눈구멍을 붙인 볼트. 운반시 크레인 등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 |
Eye bolt |
100.004 |
(다름질 가공한) |
다듬질 가공한 평평한 판 |
Finish machined plate |
100.005 |
(다듬질 가공한) |
다듬질 가공한 원형판 |
Finish machined round plate |
100.006 |
인 서 트 |
성형품에 포함된 금속 또는 그 밖의 재질. 금형에서 파손이나 마모되기 쉬운 모재와 별도인 작은 부품으로 분할하여 바꾸어 끼워 넣는 부품 |
Insert |
100.007 |
패 드 |
가공하고 있는 금속에 유지 압력을 받는 금형의 부품에 대해 사용하는 총칭 |
Pad |
100.008 |
금형 표준 부품 |
표준 규격으로 정해져 있는 금형 부품 |
Standard parts for mould & die |
100.009 |
테이퍼 맞춤핀 |
단면이 원형이며, 테이퍼가 있는 머리 없는 맞춤핀 |
Taper dowel pin |
100.010 |
냉각수 관 이음쇠 |
물이 흐르도록 파이프 또는 호스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쇠 |
Water pipe connector joint |
번 호 |
용 어 |
정 의 |
대응 영어 |
111.001 |
백포스트 다이 세트(원형) |
가이드 포스트가 뒷면에 있는 원형상의 다이 세트 |
Back post round die set |
111.002 |
백포스트 다이 세트(표준형) |
가이드 포스트가 뒷면에 있는 표준 다이 세트 |
Back post standard die set |
111.003 |
백포스트 다이 세트(정사각형) |
가이드 포스트의 위치가 뒷면에 있는 표준 다이 세트(정사각형) |
Back post standard die set(square) |
111.004 |
백포스트 다이 세트(직사각형) |
가이드 포스트의 위치가 뒷면에 있는 표준 다이 세트(직사각형) |
Back post standard die set(rectangular) |
111.005 |
배킹 플레이트(원형) |
펀치 머리부 웟면이 펀치 홀더 아랫면을 충격에 의하여 파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펀치 고정판과 펀치 홀더 사이에 대 주는 보호판(원형) |
Backing plate round(for punch) |
111.006 |
배킹 플레이트(직사각형) |
펀치 머리부 윗면이 펀치 홀더 아랫면을 충격에 의하여 파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펀치 고정판과 펀치 홀더 사이에 대 주는 보호판(직사각형) |
Backing plate, |
111.007 |
볼 리테이너 |
볼베어링 지지기(또는 리테이너) |
Ball bearing cage or retainer |
111.008 |
볼 로크 리테이너 |
볼 고정식 리테이너(펀치 고정판). 펀치의 탁찰을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 |
Ball bearing retainer-end type |
111.009 |
볼 로크 리테이너 |
볼 고정식 리테이너(펀치 고정판). 편치의 탁착을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 |
Ball lock retainer-square type |
111.010 |
볼 베어링 부시 |
볼 베어링 스트레이트 부시 |
Ball-bearing straight bush |
111.011 |
볼 로크 블랭킹 펀치 소재 |
펀치 몸체를 노칭시키는 블랭킹 펀치 소재 |
Ball-lock punch blank |
111.012 |
볼 로크 펀치 |
펀치 몸체를 노칭시키는 펀치 |
Ball-lock punch, round |
111.013 |
파인 블랭킹 베이스판 |
파인 블랭킹용 베이스 플레이트 |
Base plate for fine blanking |
111.014 |
스트레이트 펀치 |
스트레이트 펀치(기본형) |
Basic head type straight punch |
111.015 |
접시 스프링 |
밑바닥이 없는 접시 모양을 한 스트링 |
Belleville washer |
111.016 |
깃타입 펀치 |
펀치 단면 모양이 얇고 긴 펀치 |
Blade-type punch |
111.017 |
깃타입 펀치 소재 |
깃타입 블랭킹 펀치용 소재 |
Blade-type punch blank |
111.018 |
블랭크 홀더 |
드로잉 금형 또는 포밍 금형의 부품으로 금속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다이면 상의 소재에 압력을 부여하는 판 |
Blank holder |
111.019 |
볼스터 플레이트 |
다이 어셈블리의 위치를 정하고 유지하기 위해 프레스 베드에 고정된 플레이트 |
Bolster plate |
111.020 |
가이드 포스트 지지대 |
가이드 포스트의 바깥지름을 지지해 주는 링 모양 의 지지대 |
Boss guide post support |
111.021 |
단붙이 청동 가이드 부시 |
머리붙이 청동 가이드 부시 |
Bronze headed guide bush |
111.022 |
범퍼 블록 |
세트되어 있는 상태에서 금형의 보관 운반시에 불의의 충격에 의해 금형 부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또는 필요 이상으로 깊은 끼워맞춤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블록 |
Bumper block |
111.023 |
부시 클램프 |
부시를 고정시키는 부품 |
Bushing clamp |
111.024 |
센터 포스트 다이(원형) |
가이드 포스트의 위치가 중앙에 있는 원형의 다이 세트 |
Center post round die set |
111.025 |
센터 포스트 다이 (직사각형) |
가이드 포스트의 위치가 중앙에 있는 표준 다이 세트(직사각형) |
Center post standard die set(rectangular) |
111.026 |
접시(머리) 가는 펀치 |
접시머리를 한 가는 펀치 |
Combination angle-head punch with nib-point |
111.027 |
접시(머리) 펀치 |
접시머리를 가진 펀치 |
Combination angle-head straight punch |
111.028 |
커플링 섕크 |
커플링 기능이 보완된 섕크 |
Coupling shank |
111.029 |
분해형 볼 베어링 보스 부시 |
분해 가능한 볼 베어링 보스식 부시 |
Demountable ball bearing boss bush |
111.030 |
분해형 볼 베어링 부시 |
분해 가능한 볼 베어링 부시 |
Demountable ball bearing bush-toe clamp |
111.031 |
분해형 볼 베어링 단붙이 부시(나사 죔형) |
분해 가능한 볼 베어링 숄더 부시(나사 죔형) |
Demountable ball bearing shoulder bush, |
111.032 |
분해형 보스 부시 라이너 |
분해 가능한 보스식 부시 라이너 |
Demountable boss bush liner |
111.033 |
분해형 부시 |
분해 가능한 부시 |
Demountable bush |
111.034 |
분해형 부시 라이너 |
분해 가능한 부시 라이너 |
Demountable bush liner |
111.035 |
분해형(평판) 청동 가이드 부시 |
분해 가능한 청동이나 평판 청동으로 된 가이드 부시 |
Demountable guide bush-bronze or bronze plated toe clamp |
111.036 |
분해형 단붙이 부시(나사 죔형) |
분해 가능한 단붙이 부시(나사 죔형) |
Demountable shoulder bush, screw retention |
111.037 |
대각선 포스트 다이 세트(정사각형) |
가이드 포스트의 위치가 대각선으로 되어 있는 표준 다이 세트(정사각형) |
Diagonal post standard die set(square) |
111.038 |
대각선 포스트 다이 세트(직사각형) |
가이드 포스트의 위치가 대각선으로 되어 있는 표준 다이 세트(직사각형) |
Diagonal post standard die set(rectangular) |
111.039 |
다이 블록 |
금형 자체의 다이 또는 단면을 고정시키기 위한 블록 또는 플레이트 |
Die block(die plate) |
111.040 |
다이 쿠션 |
볼스터 또는 다이 블록의 밑이나 내부에 위치하는 프레스 부속품으로 스탬프 가공 작업에서 부가적인 운동 또는 압력을 주기 위한 것. 공기, 기름 또는 이들이 조합되어 작동 |
Die cushion |
111.041 |
다이 홀더 |
다이 플레이트(평판)를 설치하는 플레이트(또는 블록) |
Die holder |
111.042 |
다이 인서트 리테이너 |
인서트 타입의 분할 다이가 장입되는 플레이트 |
Die insert retainer |
111.043 |
다이 세트 |
펀치 홀더와 다이 홀더를 가이드 핀 또는 가이드 포스트로 연결한 유닛을 말하며 펀치 다이 등을 고정하고 중심 맞춤 정밀도를 높이는 기능을 갖고 있다. 다이와 펀치를 꾸며 넣기 위한 세트 |
Die set |
111.044 |
다이 세트 커플링 |
나사로 된 다이 세트 커플링(섕크 설치) |
Die set coupling with thread, |
111.045 |
다이 세트 커플링 |
다이 세트 커플링(플랜지 타입, 섕크 설치) |
Die set coupling, |
111.046 |
다이 세트 커플링 |
플랜지 달린 다이 세트 커플링 |
Die set coupling, |
111.047 |
다이 스프링(직사각형) |
금형에 사용되는 스프링(직사각형) |
Die spring, |
111.048 |
다이 스프링(원형) |
금형에 사용되는 스프링(원형) |
Die spring, |
111.049 |
다이 스프링(고무) |
금형에 사용되는 스프링으로 고무로 되어 있음. 우레탄 고무라고도 한다. |
Die spring, |
111.050 |
다이 스프링(정사각형) |
금형에 사용되는 스프링(정사각형) |
Die spring, |
111.051 |
다이 스톱 |
경사 프레스에 장치하는 다이 멈춤 |
Die stop |
111.052 |
드로(잉) 펀치(직사각형) |
드로잉용 펀치(직사각형) |
Draw punch, |
111.053 |
드로(잉) 펀치(원형) |
드로잉용 펀치(원형) |
Draw punch, |
111.054 |
파인 블랭킹 다이 세트 |
파인 블랭킹용 다이 세트 |
Fine blank die set |
111.055 |
파인 블랭킹 다이 세트(원형) |
가이드 포스트가 중앙에 있고 작업 영역(설치 영역)이 원형 파인 블랭킹용 다이 세트 |
Fine blank die set with round working area |
111.056 |
플래시 핀 |
포밍 가공 후 금형의 분할면 사이로 비어져 나온 과잉 금속 |
Flash fin |
111.057 |
평 와 셔 |
평평한 와셔 |
Flat washer, hardened |
111.058 |
총형 펀치 |
성형 펀치 |
Form punch |
111.059 |
4포스트 다이 세트 |
가이드 포스트가 4개로 되어 있는 다이 세트(직사각형) |
Four-post die set (rectangular) |
111.060 |
안내판(파인 블랭킹 금형용) |
금형에 설치된 재료 이송용의 안내판 |
Guide plate-fineblanking |
111.061 |
가이드 포스트 로크 링 |
가이드 포스트 멈춤링 |
Guide post lock ring |
111.062 |
가이드 포스트 |
다이의 안내 봉 |
Guide post, press fit |
111.063 |
가이드 포스트(센터 로크 링형) |
가이드 포스트(센터 로크 링형) |
Guide post, |
111,064 |
헤드판(파인 블랭킹 금형용) |
중심 기능이 있는 플레이트 |
Head plate-fineblanking |
111.065 |
단붙이 다이 버튼 |
머리 있는 다이 버튼 |
Head type die button |
111.066 |
단붙이 펀치 소재 |
머리 있는 블랭킹용(압입) 펀치 소재 |
Head type press fit punch blank |
111.067 |
단붙이 타원형 소재 |
머리 있는 (압입)타원형 펀치 |
Head type press fit punch oblong |
111.068 |
단붙이 원형 소재 |
머리 있는 (압입)원형 펀치 |
Head type press fit round punch |
111.069 |
단붙이 가이드 부시 |
머리 붙은 가이드 부시 |
Headed guide bush |
111.070 |
단붙이 가이드 포스트(나사 죔형) |
머리 붙은 가이드 포스트(나사 죔형) |
Headed guide post, |
111.071 |
평행 다이 버튼(압입식) |
머리 없는 다이 버튼(압입식) |
Headless die button, |
111.072 |
평행 가이드 부시 |
머리 없는 가이드 부시 |
Headless guide bush |
111.073 |
녹 아 웃 |
블랭크 또는 다른 공작물을 금형에서 배출시키는 기구 |
Knock out |
111.074 |
녹아웃 핀 |
성형품을 펀치에서 떼어 주는 기능을 가진 핀 |
Knock out pin |
111.075 |
가이드 포스트용 로크 링과 리테이너 |
가이드 포스트용 로킹 링과 리테이너 |
Locking ring and retainer for guide post |
111.076 |
로크 너트 |
풀리지 않도록 잠금 기능을 가진 너트 |
Locknut |
111.077 |
분해형 단붙이 청동 부시 |
분해 가능한 긴 청동 숄더 부시(나사로 죔) |
Long bronze demountable |
111.078 |
매트릭스 판(직사각형) |
모체가 되는 판(직사각형) |
Matrix plate, |
111.079 |
매트릭스 판(원형) |
모체가 되는 판(원형) |
Matrix plate, |
111.080 |
플랜지 달린 펀치 |
플랜지가 달린 펀치(직사각형) |
Pedestal punch, |
111.081 |
플랜지 달린 펀치 |
플랜지가 달린 펀치(원형) |
Pedestal punch, |
111.082 |
파 일 럿(핀) |
전공정에서 미리 뚫은 구멍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 공정에서 재료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한 안내 핀(펀치) |
Pilot(pin) |
111.083 |
우레탄 스프링 |
우레탄으로 된 스프링 |
Polyurethane spring |
111.084 |
압입식 슬리브 부시 |
압입식 스트레이트 슬리브 부시 |
Press fit straight sleeve bush |
111.085 |
압력 패드(직사각형) |
스프링이나 우레탄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압력판 |
Pressure pad, |
111.086 |
압력 패드(원형) |
스프링이나 우레탄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압력판(원형) |
Pressure pad, |
111.087 |
펀 치 |
1. 박판 또는 플레이트 재료에 구멍을 금으로 절단하는 것. 2. 박판, 플레이트 또는 압연재에 각종 크기의 구멍을 뚫는 프레스 가공에 대한 총칭 |
Punch |
111.088 |
펀치 홀더 |
펀치를 떨어지지 않도록 죄어 주는 플레이트 |
Punch holder |
111.089 |
펀치 홀더 섕크 |
펀치 홀더에 결합된 것으로 슬라이드 플랜지의 오목한 구멍에 들어가 그 슬라이드에 고정되는 것. |
Punch holder shank |
111.090 |
펀치 고정판(직사각형) |
펀치를 유지하면서 펀치 홀더에 고정하는 판(직사각형) |
Punch plate, |
111.091 |
펀치 고정판(원형) |
펀치를 유지하면서 펀치 홀더에 고정하는 판(원형) |
Punch plate, |
111.092 |
퀼 펀치 홀더 |
퀼 펀치용 홀더 |
Punch quill holder |
111.093 |
펀치 섕크(파인 블랭킹 금형용) |
섕크가 달려 있는 펀치 홀더 |
Punch shank-fineblanking |
111.094 |
분해형 가이드 포스트 |
분해 가능한 가이드 포스트 |
Removable guide post |
111.095 |
분해형 섕크 |
펀치 홀더에 분해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섕크 |
Removable punch holder shank |
111.096 |
분해형 섕크(나사 죔형) |
펀치 홀더에 분해 가능하게 사용할수 있는 섕크(나사로 죔) |
Removable punch holder shank, |
111.097 |
볼 베어링 지지용 리테이너 |
볼 베어링 유지용 리테이너 |
Retainer for ball-bearing cage |
111.098 |
링 라이저 |
링 모양의 라이저 블록 |
Ring riser |
111.099 |
라이저 블록 |
볼스터 윗면과 금형 사이에 끼워 높이를 조절해 주는 스페이어 블록 |
Riser block |
111.100 |
셰더(작동) 판 |
이젝터 기능이 있는 플레이트 |
Shedder actuator plate |
111.101 |
단붙이 짧은 청동 부시 |
청동 라이너가 삽입되어 있는 어깨붙이 부시(억지 끼워맞춤) |
Short bronze shoulder bush |
111.102 |
짧은 단붙이 부시 |
짧은 턱 부시 |
Short shoulder bush |
111.103 |
단붙이 청동 가이드 부시 |
청동 라이너가 삽입되어 있는 턱 가이드 부시 |
Shoulder guide bush solid bronze |
111.104 |
로크링 단붙이 가이드 포스트 |
로크링이 있는 어깨붙이 가이드 포스트 |
Shoulder guide post with lock ring |
111.105 |
단붙이 가이드 포스트(압입식) |
어깨붙이 가이드 포스트 |
Shoulder guide post, |
111.106 |
슬 리 브 |
가는 펀치를 보호하는 원통으로 된 부품. 축 등의 외부에 끼워 맞춰서 사용되는 가느다란 원통형의 부품 |
Sleeve |
111.107 |
스프링 플런저 |
스프링식 플런저 |
Spring plunger |
111.108 |
소재 안내 네스트 |
소재 외주를 감싸면서 위치를 결정하는 장치 |
Stock guide nest |
111.109 |
소재 안내판 |
소재를 안내하는 플레이트 |
Stock guide plate |
111.110 |
소재 안내 레일 |
소재 안내 레일 |
Stock guide rail |
111.111 |
소재 안내 롤러 |
소재 안내 롤러 |
Stock guide roller |
111.112 |
소재 안내(핀) |
스트립 또는 박판을 금형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안내 핀 장치 |
Stock guide(pin) |
111.113 |
소재 안내(원형) |
소재 안내 장치(원형) |
Stock guide, |
111.114 |
리프터 핀 |
금형에서 소재를 들어서 안내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핀(비원형) |
Stock lifter pin, |
111.115 |
리프터 핀(원형) |
금형에서 소재를 들어서 안내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핀(원형) |
Stock lifter pin, |
111.116 |
스톱 버튼 |
소재의 길이 방향 이송 위치를 맞추는 정지 버튼 |
Stop button |
111.117 |
스트리퍼 배킹 플레이트 |
스트리퍼 판 뒤에 설치되는 배킹 플레이트 |
Stripper backing plate |
111.118 |
스트리퍼 판 |
펀치에 끼워져 있는 스트립이나 부품을 떼어 내는 데 사용하는 판(고정 또는 가동식), 소재의 안내판 |
Stripper plate |
111.119 |
스트리퍼 판(직사각형) |
블랭킹 또는 피어싱 가공에서 펀치에 끼워져 있는 스톡 스트립(소재)이나 스트랩을 펀치에서 떼어 내는 역할을 하는 판(직사각형) |
Stripper plate, |
111.120 |
스트리퍼 판(원형) |
블랭킹 또는 피어싱 가공에서 펀치에 끼워져 있는 소재 스트립(소재)이나 스크랩을 펀치에서 떼어 내는 역할을 하는 판(원형) |
Stripper plate, |
111.121 |
스트리퍼 압력 핀 |
스트리퍼를 눌러 주는 핀 |
Stripper pressure pin |
111.122 |
스트리퍼 웨어 판 |
윤활흠 있는 스트리퍼 판 |
Stripper wear plate |
111.123 |
다이 세트 커플링 |
나사로 된 다이 세트 커플링 |
Threaded die set coupling |
111.124 |
녹아웃 로드(셰더 판붙이) |
셰더 판이 붙어 있는 상형 녹아웃 로드 |
Upper knockout rod with shedder actuator plate |
111.125 |
와 셔(테이퍼 가이드 포스트용) |
테이퍼 가이드 포스트에 사용되는 와셔 |
Washer, tapered guide post |
번 호 |
용 어 |
정 의 |
대응 영어 |
121.001 |
리턴 스프링 |
금형 부품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
(return) spring |
121.002 |
가스(공기) 빼기 핀 |
캐버티 내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핀 |
Air vent pin |
121.003 |
가스(공기) 빼기 밸브 |
캐버티 내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밸브 |
Air vent valve |
121.004 |
앵글 코어 슬라이드 |
경사지게 작동하는 코어를 움직이는 부품 |
Angle core slide |
121.005 |
앵귤러 캠 |
언더컷이 있는 성형 제품을 성형할 때 금형의 개폐시에 슬라이드 코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캠 |
Angular cam |
121.006 |
배 플 판 |
금형 또는 열판의 전도를 균일하게 하고 제품의 모양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금형 또는 열판의 내부에 증기나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부품 |
Baffle plate |
121.007 |
부 시(가이드 핀용) |
핀 또는 봉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게 베어링 역할을 하는 부품 |
Bush(guided ejection) |
121.008 |
부 시 |
부싱(나사 이젝팅용) |
Bush(unscrewing device) |
121.009 |
압축 금형 인서트 |
압축 성형을 할 때 금형 캐버티에 미리 넣고 성형에 사용하는 성형물 또는 금형 부품 |
Compression mould insert |
121.010 |
냉각 스파이럴 |
냉각수가 일정하고 고르게 흐르도록 나선형으로 홈을 파서 만든 부품 |
Cooling spiral |
121.011 |
냉각 튜브 |
냉각수가 흘러가는 파이프(튜브) |
Cooling tube |
121.012 |
코어 핀 |
성형품에 구멍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하는 부분을 말하며 코어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가는 것. |
Core pin |
121.013 |
코어 지지판 |
코어를 지지하는 판을 말하며 이 판은 금형의 가동 쪽 형판에 삽입됨. |
Core retaining plate(or core plate) |
121.014 |
코어 스트리퍼 판 |
성형품을 코어부에서 꺼낼 때 사용되는 관으로 금형의 고정 쪽 형판과 가동 쪽 형판 사이에 위치 |
Core stripper plate |
121.015 |
맞 춤 핀 |
금형 내의 2개 이상 부품을 결합하여 죌 때 서로의 상대 위치를 잡아 주기 위하여 사용하는 핀 |
Dowel pin |
121.016 |
이젝터 블레이드 |
이젝터 핀의 일종으로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성형 제품을 금형에서 빠지도록 밀어 냄. |
Ejector blade |
121.017 |
이젝터 볼트 |
금형에서 성형 제품을 꺼낼 때 이젝터 로드 쪽에서 밑판을 밀어 주는 부품 |
Ejector bolt |
121.018 |
이젝터 부시 |
이젝터 핀을 보호하고 마찰을 줄일 때 사용되는 부시의 일종 |
Ejector bush |
121.019 |
이젝터 하우징 |
이젝터 핀 고정판과 이젝터 핀 받침판을 조립한 것. |
Ejector housing |
121.020 |
이젝터 녹아웃 로드 |
녹아웃에 위쪽을 향하여 세워져 있는 봉으로 성형품이나 부스러기를 떨어지게 하는 방법으로 사용됨. |
Ejector knockout rod |
121.021 |
이젝터 핀 |
이젝터에 고정되어 있으며 성형품이 금형 밖으로 빠지도록 밀어 내는 기능을 가진 핀(단붙이형) |
Ejector pin(shoulder type) |
121.022 |
이젝터 핀(평행형) |
이젝터에 고정되어 있으며 성형품이 금형 밖으로 빠지도록 밀어 내는 기능을 가진 핀(평행형) |
Ejector pin(straight type) |
121.023 |
이젝터 판(플라스틱 금형용) |
성형품을 밀어 내기 위해 사용하는 금형 내의 장치의 일부이며 이젝터 핀, 스프루 로크 핀 들이 이에 고정 |
Ejector plate, |
121.024 |
이젝터 핀 고정판, |
성형품을 금형 밖으로 빼내는 판으로 이젝터 핀, 안내 핀, 스프루 로크 핀 등이 고정되어 있는 판(핀의 머리자리가 가공된 것) |
Ejector retainer plate |
121.025 |
이젝터 링 |
원형 제품 또는 부피가 큰 제품을 꺼낼 때 사용되는 링 형태의 이젝터 판 |
Ejector ring |
121.026 |
이젝터 로드 |
금형의 이젝터 장치를 움직이기 위해서 성형기의 틀죔 쪽에 부착된 로드이며 이것에 의해 금형이 열릴 때 가동 쪽의 금형이 후퇴하면 이젝터 판을 밀어 냄. |
Ejector rod |
121.027 |
슬리브 이젝터 핀 |
이젝터 핀의 일종으로 원통형이나 큰 원형의 성형품을 금형 밖으로 빠지도록 밀어 내는 데 사용됨. |
Ejector sleeve(sleeve ejector) |
121.028 |
이젝터 핀 받침판, |
성형품을 금형 밖으로 빼내는 이젝터 핀으로 상밀판에 설치되어 있는 핀들의 받침판 역할을 하는 부품 |
Ejector(base) plate |
121.029 |
(재료)이송 롤 |
재료 등을 이송시키는 롤 |
Feed roll |
121.030 |
핑거 안내판 |
성형품을 금형 밖으로 꺼낼 때 핀이 판의 홈을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판 |
Finger guide plate |
121.031 |
핑거 핀 |
금형 개폐에 따라 슬라이드 코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 핀 |
Finger pin |
121.032 |
고정축 형판 |
성형품을 성형하는 공간을 이루는 형판 중 고정측에 있는 형판을 말하며 캐버티부가 내재함. |
Fixed bolster plate(cavity plate) |
121.033 |
고정축 설치판, |
금형을 구성하는 맨 위에 있는 판 모양의 부품으로 사출성형 기계의 고정측 부착판에 금형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판으로 상부 고정판이라고도 함. |
Fixed clamp plate(top) or stationary side clamping plate |
121.034 |
게이트 인서트 |
게이트 홈이 가공된 부품으로 금형의 캐버티 입구에 삽입 |
Gate insert(feed plate) |
121.035 |
기브 판 |
슬라이드의 미끄럼 부분의 가이드 역할을 겸용하고 있는 누르기 판 |
Gib plate |
121.036 |
가이드 핀 부시 |
고정측 형판에 고정되어, 안내 핀이 움직일 때 저항이 적도록 베어링의 역할을 해 주는 부품으로 금형 구조에 따라 여러 형태가 있다. |
Guide pin bush or guide bush |
121.037 |
가이드(핀) 부시 |
고정측 형판에 고정되어 안내 핀이 움직일 때 저항이 적도록 베어링 역할을 해 주는 부품으로 금형의 구조에 따라 여러 형태가 있다. |
Guide(pin) bush |
121.038 |
가이드 포스트 부시 |
중심 맞추기를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 보통은 펀치 홀더에 장치되는 교환식 인서트 |
Guide-post bush |
121.039 |
힐 블록 |
펀치나 캠이 축 압력을 받을 때 펀치 또는 캠의 휨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다이 쪽으로 운동의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블록 |
Heel block |
121.040 |
핫 러너 |
금형에서 성형 재료가 캐버티로 유입되기 전 유입 시간, 예열이 시간이 걸리므로 러너 내에서 일정한 양과 온도를 유지하게 만든 것. |
Hot runner |
121.041 |
핫 러너 노즐 |
핫 러너에서 캐버티 쪽으로 성형 재료가 유출되는 출구 |
Hot runner nozzle |
121.042 |
인서트 블록(캐버티) |
캐버티를 구성하는 블록형 인서트 |
Inset block(cavity) |
121.043 |
인서트 블록(코어) |
코어를 구성하는 블록형 인서트 |
Inset block(core) |
121.044 |
인서트 핀 |
성형용 금형에서 인서트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핀 |
Insert pin |
121.045 |
키커 핀 |
가공품을 금형에서 떼어 내는 기능을 가진 핀 |
Kicker pin |
121.046 |
가이드 핀 |
금형을 열고 닫을 때 고정측 형판과 가동측 형판이 정확하게 맞추어지도록 안내 역할을 하는 핀 |
Leader pin |
121.047 |
가이드 핀 부시 |
가이드 핀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게 베어링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단이 붙어 있는 것. |
Leader pin bush |
121.048 |
가이드 핀 부시 |
측면이 평행한 가이드 핀 부시 |
Leader pin bush |
121.049 |
가이드 핀 부시 |
밑판에 내재된 안내 핀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게 베어링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단이 붙어 있는 것. |
Leader pin bush guide |
121.050 |
가이드 핀 |
금형의 고정측 형판과 가동측 형판이 정확하게 맞추어지도록 안내하는 핀 |
Leader pin |
121.051 |
위치 제어봉 |
구동 운동을 제한하는 봉 |
Limit rod |
121.052 |
로케이팅 링 |
금형의 가동측 설치판의 중앙에 있는 카운터 보링 자리에 들어가며 사출 성형기의 노즐과 스프루 부시의 중심을 맞추는 데 사용되는 부품 |
Locating ring |
121.053 |
로케이팅 링 |
금형의 고정측 설치판의 중앙에 있는 카운터 보링 자리에 들어가며 사출 성형기의 노즐과 스프루 부시의 중심을 맞추는 데 사용되는 부품 |
Locating ring |
121.054 |
로킹 블록 |
금형 내의 슬라이드 코어나 핀 등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여 성형 재료의 압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지지용 부품 |
Locking block |
121.055 |
루스 코어 |
사출 성형 등에서 언더컷이나 나사의 부분을 성형할 때 별도로 금형에 끼워 넣은 금형 부품 |
Loose core |
121.056 |
몰드 베이스 |
플라스틱 성형 기계에서 제품을 성형하고 이젝팅할 때 필요한 모든 금형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하우징 전체 |
Mould base |
121.057 |
금형 판 |
금형을 구성하는 주요 부품으로 형판, 설치판, 받침판 등으로 구성 |
Mould plate |
121.058 |
가동축 형판 |
성형품을 성형하는 공간을 이루는 형판 중 금형의 가동측에 있는 판을 말하며 이 판에는 코어가 내재됨. |
Moving bolster plate |
121.059 |
가동측 설치판, |
금형을 구성하는 부품 중 맨 아래에 있는 판 모양의 부품으로 사출 성형 기계의 가동측 부착판에 금형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판으로 하부 고정판이라 함. |
Moving clamp plate or movable side clamping plate |
121.060 |
노 즐 |
사출 성형기에서 가열 실린더의 앞끝부에 있는 성형 재료의 사출구 |
Nozzle |
121.061 |
풀러 핀 |
금형 내의 스프루를 금형 밖으로 당겨 빼내는 핀 |
Puller pin |
121.062 |
래 크 |
피니언과 맞물려 직선 운동으로 회전 운동을 얻는 부품(나사 이젝팅 기구) |
Rack(unscrewing device) |
121.063 |
리턴 핀 |
이젝터 핀 고정판에 고정되어 있으며 금형이 닫힐 때 이젝터 핀이나 스프루 로크 핀을 보호하여 원위치로 정확히 돌아가게 하도록 작용하는 핀 |
Return pin |
121.064 |
러너 로크 핀 |
3단형 구조 금형에서 성형품과 게이트를 자동 절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핀 |
Runner lock pin |
121.065 |
러너 판 |
러너가 가공되어 있는 판 |
Runner plate |
121.066 |
기밀 링 |
공기, 물 등의 유체의 밀폐용 링 |
Seal ring |
121.067 |
단붙이 가이드 핀 |
금형을 열고 닫을 때 고정측 형판과 가동측 형판이 정확히 맞추어지도록 안내하는 핀으로 단이 있는 핀 |
Shoulder leader pin |
121.068 |
단붙이 가이드 판 |
단이 붙어 있는 가이드 핀으로 2단 플랜지가 붙은 것. |
Shoulder leader pin |
121.069 |
슬라이드 |
성형용 금형에서 코어 또는 언더컷 부분을 빼낼 때 사용하는 부품 |
Slide |
121.070 |
슬라이딩 인서트 |
핀 또는 축 운동이 쉽도록 설치하는 부품 |
Sliding insert |
121.071 |
스트리퍼 볼트 |
금형을 열고 닫을 때 작동 행정을 제한하거나 금형이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볼트 |
Socket head stripper bolt |
121.072 |
스페이서 블록 |
성형품을 금형에서 빼낼 때 밑판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공간을 만들어 주는 블록 |
Spacer block |
121.073 |
스 핀 들 |
성형을 위한 코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안지름에 나선을 가진 부싱에 리드가 큰 다중 나선을 가진 측을 끼우면 금형 열림에 따른 직선 운동으로 회전 운동을 얻을 수 있다. 이 나선을 가진 축 |
Spindle(unscrewing device) |
121.074 |
스프링 스톱 |
나선 이젝팅 기구의 나사선 내부에서 스프링 가압한 나사 축 끝에 있는 강구의 압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운동을 정지시키는 부품 |
Spring(loaded) stop |
121.075 |
스프링 가압 코어 |
코어를 원위치시킬 때 스프링 힘을 사용한 코어 |
Spring loaded core |
121.076 |
스 프 루 |
성형 재료의 유로 일부로서 원뿔형의 부분 또는 이 부분에서 경화된 재료. 사출 성형기의 노즐에서 재료를 받는 주입구 통로 |
Sprue |
121.077 |
스프루 이젝터 핀 부시 |
스프루 이젝터 핀이 정확히 작동되도록 안내하는 부시 |
Sprue ejector pin bush |
121.078 |
스프루 로크 핀 |
스프루의 출구 바로 밑에 붙어 있는 핀으로 사출 후 성형된 스프루를 스프루 부시 밖으로 당겨 빼는 기능을 가진 부품 |
Sprue lock pin or sprue puller pin |
121.079 |
스톱 버튼 |
가동측 설치판과 이젝터 핀 받침판 사이에 있으며 가동측 설치판에 부착되어 이젝터 판과 가동축 설치판 사이에 이들이 끼어들어 금형에 고장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버트 |
Stop button |
121.080 |
스톱 핀 |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설치된 핀 |
Stop pin |
121.081 |
스트리퍼 판 |
이젝터 핀으로는 이젝션이 곤란한 성형품을 빼거나 성형품에 핀의 흔적이 나타나는 것을 없애자고 할 경우에 사용되는 이젝터 판 |
Stripper plate |
121.082 |
서포트 필러 |
금형의 가동측 형판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받침 기둥 |
Support pillar |
121.083 |
받 침 판 |
금형을 구성하는 형판 중 가동측에 설치되고 사출 성형시 고압으로 가동측 형판에 휨이 일어나지 않게 받쳐 주는 판 |
Support plate |
121.084 |
나사형 부시 |
안지름 나사가 있는 부시 |
Threaded bushing or threaded bush |
121.085 |
마모 패드 |
금형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 부분에 사용하는 패드 |
Wear pad |
번 호 |
용 어 |
정 의 |
대응 영어 |
123.001 |
가속 이젝터 |
가공품을 금형에서 급히 배출하는 장치 |
Accelerated ejector or kocker box |
123.002 |
가속 이젝터 핀 |
가속 이젝터에 사용되는 핀 |
Accelerated ejector pin |
123.003 |
앵글 핀 |
언더컷이 있거나 분할하여 꺼내는 성형 제품을 뽑을 때 금형을 분할하는 경사지게 작동되는 부품 |
Angle pin |
123.004 |
비스킷 블록 |
성형 재료가 캐버티로 들어갈 때 유도로도 사용되는 블록 |
Biscuit block or spreader |
123.005 |
범퍼 로드 |
세트되어 있는 상태에서 금형의 보관, 운반시 불의의 충격에 의해 금형 부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또는 필요 이상으로 깊은 끼워맞춤이 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블록 |
Bumper rod |
123.006 |
설 치 판 |
금형에 부착되어 금형을 성형 기계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하는 평판 |
Clamp plate(back plate) |
123.007 |
클램프 슬롯 |
다이캐스팅용 금형을 설치하기 위해 기계의 설치판에 가공된 볼트 머리가 들어가는 T홈 |
Clamp slot |
123.008 |
코 어 |
다이캐스팅 금형의 코어 |
Core(cover impression insert) |
123.009 |
코어 슬라이드 블록 |
앵귤러 핀으로 이동되는 부품 |
Core slide block(slide carrier) |
123.010 |
빼기 경사(각) |
이형이 잘 되게 하기 위해 캐버티 또는 코어에 붙이는 경사각 |
Draft angle |
123.011 |
가동측 블록 |
가동측 캐버티 블록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다이(블록) |
Ejector holding die or moving bolster |
123.012 |
인서트 캐버티 블록 |
형판에 캐버티를 가공하여 삽입한 블록 |
Ejector impression block or moving cavity insert |
123.013 |
인서트 캐버티 블록 포켓 |
형판에 캐버티 블록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 |
Ejector impression pocket or bolster or insert cavity |
123.014 |
이젝터 핀 |
다이캐스팅 성형 제품을 금형 밖으로 빼내는 기능을 가진 핀 |
Ejector pin |
123.015 |
이젝터 핀 받침판, |
이젝터 받침판 |
Ejector plate |
123.016 |
이젝터 판 가이드 부시 |
이젝터 판에 고정되어 작동되는 안내 핀을 원활히 작동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 부품 |
Ejector plate guide bush |
123.017 |
이젝터 판 가이드 핀 |
이젝터 판에 고정하여 이젝터 판을 안내하는 핀 |
Ejector plate guide pin |
123.018 |
이젝터 판 리턴 핀 |
이젝터 판을 성형품을 추출한 후 원상태로 되돌아오게 작동하는 기능을 가진 핀 |
Ejector plate return pin |
123.019 |
이젝터 핀 고정판, |
이젝터 부품을 고정하는 판 |
Ejector retainer plate |
123.020 |
고정측 블록(금형) |
다이캐스팅 고정측 금형을 고정하는 블록 |
Fixed bolster or insert cavity cover holding block |
123.021 |
고정측 캐버티 인서트 |
고정측에 있는 캐버티 인서트 |
Fixed cavity insert |
123.022 |
게 이 트 |
용융 금속이 캐버티에 사출되는 탕구 |
Gate |
123.023 |
게이트 및 러너 |
게이트 및 러너 |
Gate and runner or feed runner |
123.024 |
운반용(볼트) 구멍 |
금형을 이동, 운반, 조립, 검사할 때 아이 볼트를 삽입하는 구멍 |
Handling hole or lifting hole |
123.025 |
키커 장치 |
가공품을 금형에서 차내는 제거 장치 |
Kicter actuator |
123.026 |
가이드 핀 부시 |
안내 핀이 원활히 움직이도록 베어링의 역할을 하는 부시 |
Leader pin bush or guide bush |
123.027 |
마스터 다이(다이 캐스팅 금형용) |
아연합금 및 알루미늄합금 다이캐스팅 금형 |
Master die(for diecasting die) |
123.028 |
가동 코어 핀 |
다이캐스팅 제품 성형시 성형품에 구멍을 만들기 위해 가동측에 설치된 코어 핀 |
Moving core pin |
123.029 |
오버플로 피더 랜드 |
오버플로와 캐버티 사이에 있는 턱 |
Overflow feeder land or gate land |
123.030 |
오버플로 피더 |
다이캐스팅 성형 재료가 캐버티 내에 들어가지 않은 여분의 재료가 모이는 공간 |
Overflow feeder or overflow gate |
123.031 |
오버플로 웰 |
다이캐스팅 성형 재료가 캐버티에 들어간 후 남는 여분의 재료를 배출시키는 부분 |
Overflow well |
123.032 |
패 럴 렐 |
다이 베이스를 받쳐 주는 블록 |
Parallel(die base leg) |
123.033 |
파팅 라인 |
금형의 고정측 형판과 가동측 형판에 금형이 열리고 성형 제품을 빼내는 분할이 되는 부분을 금형 분할선이라고 함. |
Parting line(die parting line) |
123.034 |
단붙이 가이드 핀 |
단이 붙어 있는 안내 핀 |
Shoulder leader pin or guide piller |
123.035 |
슬리브 이젝터 |
파이프 모양 제품이나 면적이 넓은 성형 제품을 금형 밖으로 빼내는 기능을 가진 이젝터 핀의 일종 |
Sleeve ejector |
123.036 |
슬라이드 기브 블록 |
금형 부분을 고정하거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이동하여 작동하는 부품 |
Slide gib block or slide guide strip |
123.037 |
슬라이드 |
프레스의 햄 또는 전면 이동 코어 |
Slide or front face moving core |
123.038 |
스프루 부시 |
다이캐스팅 금형의 맨 위 로케이팅 링과 같이 끼워지는 스프루 부분으로 별도로 가공하여 금형에 끼워 넣도록 한 것. |
Sprue bush(zine) or sprue bush |
123.039 |
스프루 스프레더 |
스프루 스프레더 |
Sprue spreader or sprue pin(zinc) |
123.040 |
서포트 필러 |
서포트 필러 |
Support pillar |
123.041 |
벤 트 |
펀치나 다이에 공기를 통하도록 뚫은 작은 구멍으로 재료의 흡착이나 다이 포켓부에 공기가 봉입되지 않게 하고 다이가 적정하게 닫히거나 작동하게 한다. |
Vent |
123.042 |
가스(공기) 빼기 핀 |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만든 핀 |
Vent pin |
123.043 |
냉각수 관 |
냉각수가 통하는 파이프 |
Water pipe or water way |
123.044 |
쐐기 로크 |
고정이 완전히 되도록 하는 데 사용하는 쐐기 블록 |
Wedge lock |
번 호 |
용 어 |
정 의 |
대응 영어 |
211.001 |
어셈블링 다이(금형) |
리베팅, 프레스 끼워맞춤, 접기 가공, 적층, 컬링, 헤밍 크림핑, 시밍 가공, 와이어 링 등에 의해 각 부품 서로를 조립하거나 결합하는 금형, 프레스를 사용하여 2개 이상의 부품을 결합하거나 조립하는 금형 |
Assembling die (assembly die) |
211.002 |
블랭킹 다이(금형) |
판재에서 블랭크를 절단해 내는 금형 |
Blanking die |
211.003 |
벌징 다이(금형) |
관이나 디프 드로잉품에 벌지를 팽창시키기 위한 금형 |
Bulging die |
211.004 |
버니싱 다이(금형) |
가공품의 표면을 소성적으로 문질러 눌러 표면을 매끄럽게 개선 향상시키는 금형 |
Burnishing die |
211.005 |
캠 다이(금형) |
금형 운동부의 운동 방향이 프레스에 의해 주어지는 힘의 방향과 어느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작동하는 금형 |
Cam die |
211.006 |
코이닝 다이(금형) |
재료의 표면을 눌러서 요철로 성형하는 정밀 밀폐 금형 |
Coining die |
211.007 |
콤비네이션 다이(금형) |
콤파운드 다이와 프로그레시브 다이의 기능이 조합되어 있는 금형 |
Combination die |
211.008 |
콤파운드 다이(금형) |
1회의 프레스 스트로크로 2개의 절단 가공이 되는 금형 |
Compound die |
211.009 |
컬링 다이(금형) |
공작물의 모서리를 곧은 축선 또는 굽은 축선을 따라 루프 또는 환장으로 굽히는 포밍 다이 |
Curling die |
211.010 |
다 이(금형) |
1. 전단, 벤딩, 드로잉 단조 등에 사용되는 성형용 공구 |
Die |
211.011 |
단조 금형 |
단조품 성형용 금형 |
Die for forging |
211.012 |
분말 성형 금형 |
분말 성형용 금형 |
Die for powders |
211.013 |
프레스 금형 |
프레싱, 스탬핑, 펀칭용 금형 |
Die for pressing, stamping, punching |
211.014 |
드로잉 다이 |
강선, 동선을 단면 감소시키면서 드로잉하는 금형 |
Die for wire drawing |
211.015 |
딤플링 다이(금형) |
1장 또는 그 이상의 금속 박판의 구멍 둘레에 원뿔 플랜지(스트레치 플랜지)를 가공하는 포밍 다이 |
Dimpling die |
211.016 |
딩킹 다이(금형) |
연질의 박판이나 비금속 재료에서 블랭크를 절단하기 위한 나이프 에지가 있는 프레스용 또는 수동용 중공 펀치로 된 금형 |
Dinking die |
211.017 |
복동 다이 |
압력이 처음에 블랭크 홀더를 통해 블랭크에 주어지고, 다음에 펀치에 주어지는 금형 |
Double action die |
211.018 |
엠보싱 다이(금형) |
엠보싱되는 블록부를 소성 변형시켜 제품의 강성을 높이는데 사용하는 다이 |
Embossing die |
211.019 |
확장 다이(금형) |
파이프의 끝 부분을 물, 기름, 고무, 수지 또는 팽창식의 금속 펀치 등에 의해 신장, 팽창이 이루어지는 금형 |
Expanding die |
211.020 |
폭발 성형 다이(금형) |
폭발 성형용 금형 |
Explosion die |
211.021 |
압출 다이 |
금형 속에서 펀치로 금속을 누르면 금속은 금형의 오리피스를 지나 소성 변형되어 압출되는데, 이 때 금속은 그 오리피스의 윤곽이나 횡단면적과 같은 모양이 됨. |
Extrusion die(or extruding die) |
211.022 |
파인 블랭킹 다이(금형) |
펀치, 다이 간의 클리어런스를 가능한 작게 하는 동시에 펀치의 주위에 삼각날을 가진 강력한 스트리퍼 판과, 아래쪽에도 펀치에 대항하는 카운터 패드를 붙여서 재료 굽힘을 방지하면서 깨끗한 절단면을 얻는 가공 방법 |
Fine blanking die |
211.023 |
플로팅 다이(금형) |
압출 가공에서 다이가 다이 홀더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조성된 금형 |
Floating die |
211.024 |
포밍 다이(금형) |
벤징, 드로잉, 플랜징 등의 공정을 복합하여 펀치와 다이의 모양으로 소재를 성형하는 금형 |
Forming die |
211.025 |
갱 다이(금형) |
프레스의 하나의 램에 또는 몇 개의 램을 지니는 갱 프레스 각각의 램에 다이를 나란히 장치하여 소재를 순차적으로 다른 다이에 수평 이송하여 가공되도록 배열한 금형 |
Gang die |
211.026 |
해머 다이(금형) |
단조 금형의 일종으로 해머 가공용 금형 |
Hammer die(for forging) |
211.027 |
헤딩 다이(금형) |
볼트, 리벳, 그 밖의 비슷한 부품의 머리부를 해머로 치거나 압력을 가해서 굵고 짧게 하기 위한 단조기 또는 프레스에 사용되는 금형 |
Heading die |
211.028 |
헤밍 다이(금형) |
부품의 모서리를 180도 구부려 접는 형 |
Hemming die |
211.029 |
혼 다이 |
맨드릴 또는 앤빌이 보통 수평축에 부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금형 |
Horn die |
211.030 |
역방향 다이(금형) |
펀치, 다이의 설치 위치가 보통의 위치와 반대로 되어 있는 금형 |
Inverted die |
211.031 |
단붙이 다이(금형) |
플랜지 부분에 오프셋을 붙이는 금형 |
Joggle die |
211.032 |
랜싱 다이(금형) |
공작물을 잘라 내지 않고 또는 스크랩을 내지 않고 재료에 절입선을 넣어 가공하는 금형 |
Lancing die |
211.033 |
퍼포레이팅 다이(금형) |
많은 숫자의 구멍 배열 프레스의 1회의 스트로크로 동시에 또는 순차 이송으로 피어싱 또는 펀칭하는 금형 |
Perforating die |
211.034 |
구멍 뚫음(금형) |
박판재 또는 플레이트재로부터 슬러그(스크랩)을 잘라 내는 금형 |
Piercing die |
211.035 |
프로그레시브 다이(금형) |
둘 또는 그 이상의 설치에서 공작물이 가공되어 하나의 설치에서 다음의 설치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둘 이상의 연속 가공이 이루어지는 금형 |
Progression die, progressive die |
211.036 |
펀칭 다이(금형) |
피어싱 다이와 같은 기능의 금형 |
Punching die |
211.037 |
리베팅 다이(금형) |
2개 또는 그 이상의 부품을 리벳으로 서로 접합하는 금형 |
Riveting die |
211.038 |
분할 다이(금형) |
몇 개의 작은 조각이나 부분, 세그먼트 또는 섹터로 조립된 다이 |
Sectional die |
211.039 |
셰이빙 다이(금형) |
1차 블랭킹된 소재의 전단면 모양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금형으로 펀치와 다이의 틈새가 거의 없는 금형 |
Shaving die |
211.040 |
전단 다이(금형) |
판재의 일정한 폭으로 자르는 금형 |
Shearing die |
211.041 |
사이드 액션 다이(금형) |
캠, 쐐기, 그 밖의 프레스의 보조 기구에 의해 프레스 슬라이드 운동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움직이는 금형 |
Side action die |
211.042 |
시미(트리밍) 다이(금형) |
용기의 벽을 가로로 자르는 캠에 의하여 구동되는 금형으로 그 방향을 캠 위치에 따라 정함. |
Simmy(brehm trimming die) |
211.043 |
단동 다이(금형) |
블랭크 홀더 작동이 없는 드로잉 금형으로 다이 쿠션을 사용하지 않은 단동 프레스에 사용되는 것. |
Single action die |
211.044 |
슬롯 다이(금형) |
판을 갈라서 자르는 선을 긋거나 스크랩이 나지 않을 때 판을 갈라서 자르는 금형 |
Slot die |
211.045 |
스틸 룰 다이 |
얇은 강철의 스트립(인쇄용 자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한 금속 절단 다이로, 비금속 재료나 연질 금속을 절단할 경우에 사용됨. |
Steel rule die |
211.046 |
스트레치 다이(금형) |
인장 성형용 금형 |
Stretch die |
211.047 |
스웨이징 다이(금형) |
반지름 방향으로 금형이 움직이면서 제품 모양을 만드는 단조 작업의 일종으로 압축된 금속의 일부가 형의 윤곽 안으로 소성적으로 흘러 들어감. |
Swaging die |
211.048 |
트랜스퍼 다이(금형) |
하나의 다이 세트에 여러 조의 펀치와 다이를 배열하고 순차 이송시키면서 가공하는 금형 |
Transfer die |
211.049 |
트리밍 다이(금형) |
성형품에서 잉여 재료 부분을 절단 또는 전단하는 금형 |
Trimming die |
211.050 |
삼동 다이 |
이 다이에서는 그 블랭크 홀더나 내부 슬라이드에 죄어진 펀치에 적용되는 힘이 가해서, 하부 펀치에 제3의 힘이 주어짐. |
Triple-action die |
211.051 |
터릿 펀치 다이(금형) |
터릿에 장착되어 작동되는 펀치 금형 |
Turret punch die |
211.052 |
투스텝 다이(금형) |
1회의 프레스 스트로크로 2개의 스테이지 작업을 하는 드로 금형 |
Two step die |
211.053 |
와플 다이(금형) |
공작물 또는 블랭크를 변형시키지 않고 와플형의 디자인을 누르는 평면형의 일종 |
Waffle die |
번 호 |
용 어 |
정 의 |
대응 영어 |
221.001 |
블로 금형(플라스틱용) |
가열된 플라스틱 패리슨을 금형의 캐버티에 넣어 공기압을 가하여 캐버티 모양의 속이 비어 있는 병. 용기 등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도록 하는 금형 |
Blow mould(for plastics) |
221.002 |
주조 금형(플라스틱용) |
금속 성형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성형하는 것. |
Casting mould(for plastics) |
221.003 |
센터 게이트 금형(몰드) |
캐버티 내의 성형품 중앙 위치에 게이트를 설치한 사출 성형품 금형 |
Center-gated-mould |
221.004 |
압축(성형) 금형 |
가열 원료를 넣은 다음에 가열하여 압축하여 성형하는 금형 |
Compression mould |
221.005 |
압축 성형 금형(고무용) |
금형의 두 형판 사이에 고무 재료를 넣고 압축시켜 성형하는 금형 |
Compression mould(for rubber) |
221.006 |
열가소성 수지 압축 성형(플라스틱용) 금형 |
열경화성 수지를 프레스 모양의 성형 기계로 가열, 압축, 성형하는 금형 |
Compression - thermoset- |
221.007 |
다이캐스팅 금형 |
저융점 금속을 녹여 금형에 넣어 성형할 때 이용하는 방법을 다이캐스팅 주조라 하며 이 때 사용되는 금형 |
Diecasting mould |
221.008 |
피복 금형(플라스틱용) |
공고된 플라스틱 합성 수지 성형품을 금형 안에서도 사출된 수지로 표면을 피복 성형하는 금형 |
Encapsulation mould(for plastics) |
221.009 |
피복 금형(고무용) |
가열된 성형 제품의 고무를 피복시키는 금형 |
Encapsulation mould(for rubber) |
221.010 |
오 목 형 |
금형의 凹형 블록 |
Female mould |
221.011 |
물고기 꼬리형 금형 |
평평한 필름이나 판재를 압출 성형하는 금형의 한 종류 |
Fish tail die |
221.012 |
플래시 금형 |
금형면이 프레스가 죄는 힘의 방향과 수직으로 죄는 힘이 클수록 금형의 파팅면이 더욱 죄어지는 금형 |
Flash mould |
221.013 |
중력 주조 금형 |
중력을 이용하여 금형 내에 재료를 주입 성형하는 주조 금형 |
Gravity casting mould |
221.014 |
핸드 몰드(금형) |
가장 단순한 압축 금형의 일종으로 금형은 프레스의 상하가 가압판에 의해 간접 가열되고 재료의 공급 및 제품 취출은 수동으로 작동 |
Hand mould |
221.015 |
핫 러너 금형 |
금형의 스프루, 러너의 부분을 가열하여 그 안에 있는 성형 재료를 항상 용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수출 성형용 성형품만을 냉각하여 빼냄. |
Hot runner mould |
221.016 |
사출 금형(고무용) |
금형 내의 공간에 고무 재료를 고압으로 주입하는 고무용 금형 |
Injection mould(for rubber) |
221.017 |
인젝션 스트레치 블로 금형 |
사출한 후 금형에 압축 공기를 넣어 길게 늘려 성형하는 금형으로 각종 박판 종류 성형에 이용 |
Injection stretch blow mould |
221.018 |
열경화성 사출(플라스틱용) 금형 |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할 때 사용하는 금형 |
Injection - thermoplastic mould(for plastics) |
221.019 |
열가소성 사출(플라스틱용) 금형 |
열경화성 수지를 사출 성형할 때 사용하는 금형 |
Injection - thermosetting mould(for plastics) |
221.020 |
단열 러너 금형 |
스프루, 러너를 굵게 하여 그 표면에 접촉 고화한 재료의 단열 효과에 의해 내부의 재료를 용융 상태로 유지하여 연속적으로 사출 성형하는 금형 |
Insulated runner mould |
221.021 |
인베스트먼트 주조 금형 |
왁스형을 주위에 내화물을 입형 주형을 만든 후, 가열해서 왁스를 용출 연소시켜서 생긴 공간에 용탕을 주입하여 주물을 만드는 방법 |
Investment(or lost wax) casting mould |
221.022 |
적층 금형(플라스틱용) |
열경화성 수지 용액을 여러 장의 박판(베니어), 천, 종이 등 사이에 침투시켜 건조한 것을 겹쳐서 가열, 압축해 판상 성형을 하는 금형 |
Laminating mould(for plastics) |
221.023 |
저압 주조 금형 |
주조시 불량을 줄이도록 캐버티 내 압력을 낮게 하기 위해 공기를 뽑아 내고 성형하는 주조 금형 |
Low pressure casting mould |
221.024 |
금형, 몰드 |
성형 재료의 열을 가하여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캐버티에 주입하여 제품을 만드는 금형. 종류로는 플라스틱용, 단조용, 주조용, 고무용, 유리용 등 |
Mould |
221.025 |
세라믹용 금형 |
세라믹 재료를 성형할 때 이용하는 금형 도자기, 컵, 전기 전자 부품 등을 생산할 때 사용 |
Mould for ceramics |
221.026 |
콘크리트용 금형 |
콘크리트 성형을 이용하는 금형으로 벽돌, 블록, 보도 블록, 콘크리트관, 보도 경계석 등 |
Mould for concrete |
221.027 |
유리용 금형 |
유리 제품 성형에 이용하는 금형으로 전등 장식, 유리컵, 인형, 유리 그릇, 전구 등 |
Mould for glass |
221.028 |
광물성 재료용 금형 |
광물성 재료를 성형할 때 이용하는 금형 |
Mould for mineral materials |
221.029 |
플라스틱 금형 |
플라스틱, 즉 합성 수지를 용융, 반용융 상태로 가열하여 금형의 공간 속에 충전시킨 후 냉각과정을 거쳐 성형품을 만드는 각종 형(금형) |
Mould for plastics |
221.030 |
고무용 금형 |
고무 제품 성형에 이용되는 금형 |
Mould for rubber |
221.031 |
다수 캐버티 금형 |
금형에 캐버티를 1개 이상 설치하여 동시 여러 개의 성형 제품을 성형하도록 만든 금형 |
Multi-cavity mould |
221.032 |
다수 게이트 금형 |
사출 성형 금형에서 1개의 캐버티에 2개(2곳) 이상의 게이트를 붙인 것. |
Multiple gate mould |
221.033 |
패 턴 |
주형을 만들기 위하여 목재나 금속, 그 밖의 가소성 재료로 만든 주형을 만드는 모형 |
Pattern |
221.034 |
회전식 금형(플라스틱용) |
열가소성 수지를 재료로 하는 속이 빈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의 일종으로 금형 자체가 회전하면서 성형하는 금형 |
Rotational mould(for plastics) |
221.035 |
러너리스 금형 |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할 때 금형의 스프루나 러너부를 가열하여 이 속의 성형 재료를 항상 용융 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으로 성형품만을 냉각시켜 빼내도록 한 수출 성형용 금형 |
Runnerless mould |
221.036 |
압력 주조 금형 |
금형 캐버티 내에 압력을 가하여 성형을 하는 주조 금형 |
Pressure casting mould |
221.037 |
단일 캐버티 금형 |
금형의 몸체에 캐버티가 한 개뿐인 금형 |
Single-cavity mould |
221.038 |
슬러시 금형(몰드) |
열가소성 수지(PVC)를 금형 캐버티에 주입하고 금형을 2측상에서 회전시켜 수지가 내면에 부착되게 하여 중공 성형품을 만드는 금형 |
Slush mould(plastisols) |
221.039 |
분할 금형(몰드) |
성형품의 파팅면이 금형을 여는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분할되는 금형 |
Split mould |
221.040 |
중첩 금형 |
소형의 주물을 다수 주조할 때 주형을 다수 쌓아 올려서 공동의 주형에서 주조할 수 있도록 한 금형, 또는 1세트 금형 내에 캐버티를 중첩으로 배치한 금형 |
Stack mould |
221.041 |
삼단 금형 |
러너 스트리퍼 플레이트가 추가로 설치되어 금형의 열림에 의해 성형품에서 스프루와 러너 게이트가 자동적으로 분리되는 2개의 파팅 라인을 가진 금형 |
Three-plate mould |
221.042 |
트랜스퍼 금형(고무용) |
고무 재료를 단계적으로 성형, 이송하여 맨 끝에서 경화 성형하는 금형 |
Transfer mould(for rubber) |
221.043 |
열경호성 트랜스퍼(플라스틱용) 금형 |
열경화성 수지 성형에서 성형 제품의 체적 및 스프루 체적과 같은 체적의 예비 압축 성형물을 트랜스퍼 실린더에 넣고 가열 연화한 다음 캐버티에 주입시켜 경화시키는 금형 |
Transfer-thermosetting mould |
221.044 |
진공 성형 금형(플라스틱용) |
플라스틱 판의 주변을 오 목형에 클램프로 누르고 가열하여 충분히 연화시킨 뒤 형 내의 공기를 빼내고 성형하는 방법 |
Vacuum mould(for plastics) |
번 호 |
용 어 |
정 의 |
대응 영어 |
300.001 |
틈 새 |
끼워맞춤 부분이나 물림 부분 등에서의 간격, 금형에서는 펀치와 구멍의 편측 틈새 |
Mould for plastics |
300.002 |
컴퓨터 이용 설계 |
대화형 개발 설계 및 저장된 설계 데이터를 이용한 금형 설계 방법 |
Mould for rubber |
300.003 |
처 짐 |
힘이 주어졌을 때 직선 또는 평면으로부터 제품이 변형되어 있는 것. |
Deflection(deflexion) |
300.004 |
플 래 시 |
금형의 파팅 라인(플래시 라인)이나 이젝터 핀 등이 틈새에서 흘러 나와 응고 또는 경화된 얇은 조각 모양의 재료 |
Flash |
300.005 |
경 도 |
물체의 단단하고 연한 정도를 표시하는 양으로서 단단한 정도 |
Hardness |
300.006 |
하 중 |
주어진(임의의) 작업에 작용하는 힘의 총량 |
Load |
300.007 |
몰드 랜드 |
금형 고정측 설치판에서 가동측 설치판 사이의길 |
Mould land |
300.008 |
네 스 트 |
1. 금형 중에 부품의 위치를 정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부품의 윤곽을 일치시키기 위한 결정 플레이트. |
Nest |
300.009 |
투영 면적 |
성형품을 금형죔 방향으로 평행 광선을 비추었을 때 생기는 그림자의 면적 |
Projected area |
300.010 |
세 트 백 |
2개의 부합하는 몰드선의 교점에서 굽힘 라인까지의 간격, 대응하는 2개의 직선 살형선의 교점부터 곡선(벤드 라인)까지의 거리에서 굽히는 정도를 계산할 때의 차이 부분 |
Setback |
300.011 |
인 장(력) |
물체 내부에 구성되는 내력 또는 힘으로 확장 또는 신장(스트레칭)의 원인 |
Tension |
번 호 |
용 어 |
정 의 |
대응 영어 |
310.001 |
굽힘 여유 |
굽힌 금속의 중립축을 따라서 전개한 호의 길이 |
Bend allowance |
310.002 |
굽 힘 각 |
벤딩 가공이 끝날 때까지 거치는 각도 |
Bend angle |
310.003 |
굽힘 반지름 |
1. 공작물 굽힐 때의 안쪽 반지름. |
Bend radius |
310.004 |
베 벨 각 |
90도에서 플랜지의 굽힘각을 뺀 것. 90도 이하의 굽힘각에 대한 베벨각은 "오픈 베벨"이라 하고 90도 이상의 굽힘각에 대하여는 "클로즈드 베벨"이라 함 |
Bevel(angle) |
310.005 |
블랭크 전개 |
1. 블랭크의 치수나 모양을 결정하는 기술. |
Blank development |
310.006 |
거스러미 방향 |
전단 작업 후 발생한 거스러미가 있는 쪽의 방향 |
Burr side |
310.007 |
다이(금형) 틈새 |
다이와 펀치 사이의 각 측면(사이드)마다의 공간 |
Die clearance |
310.008 |
다이 간격 |
다이와 펀치 사이의 각 측면(사이드)마다의 공간 |
Die gap |
310.009 |
다이 높이 |
프레스 슬라이드의 하사점 상태에서 슬라이드 밑면과 볼스터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 |
Die height |
310.010 |
다이 랜드 |
다이 날 끝부의 직선 부분 |
Die land |
310.011 |
다이각 반지름 |
드로잉 금형에서 다이 모서리의 반지름( R ) |
Die corner radius |
310.012 |
맞춤 핀 구멍 |
2개의 부품이 합쳐질 때 끼우는 핀이나 부품이 관통하는 구멍 |
Dowel hole |
310.013 |
드로 반지름 |
다이 또는 펀치 고너의 반지름으로 이 위에서 공작물이 드로잉 됨 |
Draw radius |
310.014 |
드로잉성 |
1. 드로잉 가공 중 블랭크에 가능한 변형의 척도. |
Drawability |
310.015 |
퍼포 레이팅 |
다수의 구멍을 피어싱 또는 펀칭하는 것으로, 보통 같은 구멍을 규칙적인 모양으로 배치 |
Perforating |
310.016 |
릴 리 프 |
펀치 또는 다이의 날 바로 뒤 또는 조금 떨어진 부분의 금속을 깎아 내어 만든 틈새.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 여유 공간 |
Relief |
310.017 |
인장 강도 |
인장 시험의 과정에서 나타난 최대 하중값을 시험편의 처음 단면적으로 나눈 값 |
Tensile strengh |
번 호 |
용 어 |
정 의 |
대응 영어 |
320.001 |
보 스 |
성형품 구멍부의 보강, 조립시의 끼워맞춤, 나사 죔형 구멍 등의 목적 때문에 접합하는 돌기부 |
Boss |
320.002 |
냉각수로 |
냉각수가 통하도록 하기 위해 성형기나 금형에 뚫은 구멍 또는 주위에 파넣은 홈 |
Cooling channel |
320.003 |
디렉트 게이트 |
사출 성형용 금형의 스프루에서 직접 캐버티에 연결되어 있는 것. |
Direct gate |
320.004 |
디스크 게이트 |
사출 성형에 구멍이 있는 성형품인 경우 구멍 중앙부에 스프루를 붙여 구멍의 주위 전면부터 성형 재료를 충전하도록 한 게이트 |
Disk gate |
320.005 |
팬 게이트 |
성형품의 한 끝에 부채 모양으로 붙인 게이트 |
Fan gate |
320.006 |
필름 게이트 |
얇고 폭이 넓은 게이트 |
Film gate |
320.007 |
게 이 트 |
사출 금형에서 용융한 성형 재료를 캐버티에 넣기 위한 주입구 |
Gate |
320.008 |
게이트 밸런스 |
사출 성형용 여러 개 빼기 금형에서 각 캐버티에 성형재료가 동시에 충전될 수 있게 러너의 배치를 고려한다든지 게이트의 길이나 단면적을 조절하는 것. |
Gate balance |
320.009 |
게이트 랜드 |
금형의 내부에 있는 캐버티와 러너 사이에 있는 게이트의 길이 |
Gate land |
320.010 |
랜 드 |
압축 성형, 사출 성형에서 금형의 고정측과 이동측이 합쳐지는 면 |
Land |
320.011 |
팬 게이트 |
성형 제품 중앙에 설치되는 게이트의 한 종류로 보통 핀 포인트 게이트라고 함. |
Pin gate |
320.012 |
핀 포인트 게이트 |
사출 성형용 금형의 단면적을 아주 작게 한 게이트 |
Pin point gate |
320.013 |
제한 게이트 |
사출 성형에서 성형 재료가 캐버티에 충전 완료된 후 게이트부으 재료가 급속히 응고하도록 두께 또는 단면적을 제한한 게이트이며, 핀 포인트, 게이트, 팬 게이트, 링 게이트, 필름 게이트, 태브 게이트 등 |
Restricted gate |
320.014 |
리 브 |
플라스틱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제품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설치한 돌기물 또는 지지부. 굽힘 가공에서 굽힘각(모서리)이나 부품의 평면부 등에 보강하기 위하여 붙이는 끈 모양의 돌출부 |
Rib |
320.015 |
링 게이트 |
원통형 성형품의 원둘레 부위부터 성형 재료를 충전하는 게이트 |
Ring gate |
320.016 |
러 너 |
액체 상태 수지가 성형 기계 노즐에서 나와 캐버티로 흘러 가는 통로 |
Runner |
320.017 |
러너 밸런스 |
스프루에서 각 캐버티까지의 거리는 동일하게 하거나 단면의 크기를 조절하여 여러 캐버티가 동시에 충전하도록 하는 것. |
Runner balance |
320.018 |
사이드 게이트 |
금형의 캐버티에 성형 재료를 측면에서 충전하는 게이트 |
Side gate |
320.019 |
스프루 게이트 |
사출 성형용 금형에서 스프루로부터 직접 캐버티에 연결되어 있는 통로 |
Sprue gate |
320.020 |
표준 게이트 |
캐버티의 측면에 붙여진 제한 게이트의 일종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식 |
Standard gate |
320.021 |
서브머린 게이트 |
사출 성형용의 터널 게이트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며 성형품의 눈에 띄지 않는 장소에 게이트를 위해서 이젝터 핀의 측면에 러너를 마련하고 성형품의 하부 측면에서 성형 재료를 충전하는 게이트 |
Submarine gate |
320.022 |
태브 게이트 |
사출 성형 금형에서 특별히 설치된 성형품의 태브에 붙이는 게이트 |
Tab gate |
320.023 |
테 이 퍼 |
성형용 금형에서는 성형품을 빼내기 쉽게 하기 위하여 금형에 붙이는 빼기 기울기 |
Taper |
320.024 |
터널 게이트 |
러너의 끝을 금형의 파팅 라인보다 낮추어 캐버티의 측면(측벽)으로부터 성형 재료를 충전하는 방식의 게이트 |
Tunnel gate |
310.025 |
언 더 컷 |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빼내기 어렵게 장애를 주는 돌기 부분 |
Undercut |
310.026 |
비제한 게이트 |
사출 성형 금형에서 캐버티에 스프루 또는 러너를 직접 연결하였을 경우의 캐버티에 대한 성형 재료의 입구 |
Unrestricted gate |
번 호 |
용 어 |
정 의 |
대응 영어 |
400.001 |
어 닐 링(풀림) |
금속의 가열과 냉각을 가해서 금속을 연화시키는 데 이용하는 과정. 기계적 또는 물리적 여러 성질을 바꾸거나 또는 일정한 현미경 구조를 생기게 하기 위한 열처리 |
Annealing |
400.002 |
버 니 싱 |
금속 표면의 다듬질 면을 좋게 하기 위해 문질러서 평활하게 하거나 소성적으로 다듬어 평활하게 하는 것. |
Burnishing |
400.003 |
침탄질화 |
철계 합금이 탄소와 질소를 동시에 흡수하는 가스 분위기 중에서 우선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은 필요한 여러 성질을 생기게 하는 방법 |
Carbonitriding |
400.004 |
침 탄 |
철계 합금을 탄소질의 고체, 액체 또는 가스체와 접촉시킨 채 그 변태역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고 그 온도로 유지해서 합금 중에 탄소를 도입하여 내마모성을 부여하는 공정 |
Carburizing |
400.005 |
표면 경화 |
표면을 중심부 또는 내축보다 실질적으로 경화되도록 담금질하는 것 |
Case hardening |
400.006 |
고정 유닛 |
사출 성형기에 금형이 장착될 때 이용되는 부품 |
Clamping unit |
400.007 |
냉간 호빙 |
열처리하여 단단해진 호브를 어닐링한 금형재에서 상온으로 서서히 밀어 넣고 금속의 소성 변형을 이용하여 금형(오목형)을 만드는 방법 |
Cold hobbing |
400.008 |
컴퓨터 이용 제조 |
생산 장비에 계획, 작업 순서, 작업 방법, 작업 지시를 알려 주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 |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
400.009 |
컴퓨터 통합 생산 |
컴퓨터를 용융하여 기존의 여러 컴퓨터화된 시스템들을 연결하고 전체적으로 서로 일관되게 통합하는 것. |
Computer integrated |
400.010 |
조 각 |
금형 또는 플락스틱 제품에 문자 마크 또는 장식적 디자인을 가공하는 것. |
Engraving |
400.011 |
다 듬 질 |
주로 제품의 겉모양을 다듬거나 치수 등 정도 향상을 시키기 위한 마지막 제조 공정을 말하며 플래시 떼기, 게이트 제거, 버핑, 광내기, 광지우기, 도장 등의 조작 |
Finishing |
400.012 |
인몰드 코팅(IMC) |
사출 금형에서 인쇄된 투명 필름을 삽입하고 동시에 성형함으로써 성형품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 |
In - mould coating(IMC) |
400.013 |
인몰드 데코레이션 |
사출 금형에서 무늬를 인쇄한 투명 필름을 삽입하여 동시에 성형함으로써 성형품 표면에 무늬를 주는 방법 |
In - mould decoration |
400.014 |
노멀라이징(불림) |
철계 합금이 임계역 이상의 적당한 온도까지 가열된 후 공랭하는 프로세서 |
Normalizing |
400.015 |
지그ㆍ공구 |
재료를 절삭 가공, 소성 가공할 때 일정한 치수, 각도 등이 유지되도록 고정시키거나 운동의 위치 결정에 이용 |
Jig and fixture |
400.016 |
쇼 프로세스 |
정밀 주조 방식 중의 일종 |
Shaw process |
400.017 |
템 퍼 링(뜨임) |
금속의 내부 응력을 제거하는 열처리 프로세스로 온도는 응력 제거의 경우보다 높으나 임계 온도 이상으로 되지 않음. |
Tempering |
400.018 |
금형 시험 프레스 |
펀치와 다이의 틈새 유지, 부품들의 면 맞춤을 위한 금형 제작의 최종 다듬질에 사용하는 프레스 |
Tryout press or die spotting press |
번 호 |
용 어 |
정 의 |
대응 영어 |
500.001 |
에어 실린더 |
압축 공기로 작동하는 피스톤 실린더 |
Air cylinder |
500.002 |
자동 이젝션 |
성형품을 금형에서 자동적으로 취출시키는 것. |
Automatic ejection |
500.003 |
비 드 |
박판의 가공품 또는 부품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한 가늘고 긴 돌기 |
Bead |
500.004 |
하부 이젝션 |
수직형 성형기에서 성형품을, 금형에서 밀어 내는 방법의 하나로 하형에서 밀어 내는 것. |
Bottom ejection |
500.005 |
형 체결력 |
금형을 죄기 위해서 가하는 최대 압력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톤으로 표시 |
Clamping force |
500.006 |
고정구 |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빼낸 후에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보완 기구 |
Cooling fixture shrink fixture |
500.007 |
균 열 |
내부의 응력 또는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서 플라스틱 제품에 생긴 금 |
Crack |
500.008 |
이젝션 램 |
사출 성형기 등에서 성형품을 이젝션하기 위해서 특별히 장치한 것인데,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서 작동하는 램이며 이것으로 이젝터 핀을 움직이게 됨. |
Ejection ram |
500.009 |
탄성 한도 |
재료가 탄성적으로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으로 그 응력을 제거하면 본래의 치수나 모양으로 돌아감. |
Elastic limit |
500.010 |
탄 성 |
재료 성질의 하나로, 재료에 임의의 변형을 준 후에도 본래의 치수 또는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능력 |
Elasticity |
500.011 |
모 떼 기 |
플라스틱 성형품의 구석에 덧살붙임 또는 둥글기를 붙인 부분 |
Fillet |
500.012 |
파 울 링 |
가공 부품의 금속 분자가 펀치 또는 다이에 점착하는 것. |
Fouling |
500.013 |
열 전도도 |
온도차 1℃, 면적 1cm, 두께 1cm의 물질을 1초 동안에 통하는 열량 |
Heat conductivity |
500.014 |
인 칭 |
금형이 닫히기 직전에 금형 죔 속도를 늦추어 서서히 닫히게 되는 것. |
Inching |
500.015 |
일체형 힌지 |
플라스틱 용기의 뚜껑과 몸체와의 사이를 두께 0.25 ~ 0.5mm정도의 얇은 막으로 연결하고 이 부분을 구부릴 수 있게 일체로 사출 성형시킨 힌지 |
Integral hinge |
500.016 |
금속 인서트 |
성형품의 보강, 다른 부품 부착 또는 전기 회로의 형성 등을 위해 미리 금형에 끼워 넣고 성형하는 금속 부품 |
Metal insert |
500.017 |
제 팅 |
사출 성형시 충전 과정에 나타나는 불량의 일종으로 처음에 성형 재료가 분출해서 뱀이 다닌 자리와 같은 모양이 성형품에 생기는 불량 현상 |
Jetting |
500.018 |
가소제의 이행 |
플라스틱과 접촉되어 있는 물질 쪽으로 플라스틱 속의 가소제가 이동해 가는 현상 |
Migration of plasticizer |
500.019 |
소성 변형 |
탄성 변형에 대응하는 변형으로서 응력을 제거하여도 원형으로 돌아가지 않는 변형 |
Plastic deformation |
500.020 |
소성 가공 |
물질의 모양과 파괴를 수반하지 않고 영구 변형을 일으키는 가공 처리 |
Plastic working |
500.021 |
플 런 저 |
사출 성형기 및 트랜스퍼 성형기의 부품으로 성형 재료를 가압 및 이동시키고 금형이 폐쇄되었을 때 원료를 금형에 충전시키는 부품 |
Plunger |
500.022 |
후성형 |
열 경화성 수지의 적층품을 가열하여 2차 성형하는 방법 |
Postforming |
500.023 |
퍼 징 |
성형 가공에서 가열 실린더 내에 잔류하는 재료를 다른 성형 재료로 밀어 내어 바꾸어 넣은 것. |
Purging |
500.024 |
슬로 다운 |
금형을 열고 닫을 때 충격에 의한 금형의 파손, 고정 볼트의 늦춤, 성형품 등을 밀어 낼 때의 파손 방지 등을 위해 개폐 운동의 초기 및 말기의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 |
Slow down |
500.025 |
연 화 점 |
플라스틱을 일정한 속도로 가열할 때 변형이 시작되는 온도 |
Softening point |
500.026 |
변 형 률 |
외부에서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변화된 정도 또는 응력에 대응하여 생기는 물체의 변형 |
Strain |
500.027 |
변형 경화 |
재결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소성 변형에 의한 금속의 경도 및 강도의 증가 |
Strain hardening |
500.028 |
응 력 |
물체에 주어진 평면에 한 점을 통해 내부의 힘 또는 분력이 작용할 때 그 점에서의 강도 |
Stress |
500.029 |
테이블 이송 |
고무 패드 프레스의 이송 장치로 다이, 폼 블록 및 블랭크가 그 위에 장치되는 테이블로서 고무 압판 아래의 정해진 위치로 회전 |
Table feed |
500.030 |
비 틀 림 |
물체의 토크 작동에 대한 물체 내부의 저항 |
Torsion |
500.031 |
쐐기식형 체결 기구 |
타이 바의 일부에 쐐기홈을 설치하여 유입 피스톤 끝의 쐐기를 쐐기 홈에 압입하여 형 체결력을 얻는 장치 |
Wedge type mould clamping system |
번 호 |
용 어 |
정 의 |
대응 영어 |
510.001 |
비 딩(가공) |
편평한 판금 또는 성형된 판금에 끈 모양의 돌기를 붙이는 가공 |
Beading |
510.002 |
굽 힘(가공) |
편평한 판이나 소재를 그 중립면에 있는 굽힘축 주위를 움직이게 하여 재료에 굽힘 변형을 주는 가공 |
Bending |
510.003 |
블 랭 크 |
일반적 프레스 가공용으로 일정한 모양으로 미리 절단된 금속편 또는 판상의 소재. 특히 프레스에 의해서 따낸 소재 또는 압출 단조 등의 짧은 소재 |
Blank |
510.004 |
블 랭 킹(가공) |
펀치와 다이를 사용하여 판금을 여러 가지 형태로 자라 내는 작업(외형 뽑기) |
Blanking |
510.005 |
버클링, |
압축 응력의 원인으로 공작물에 굽음, 비틀림, 부풀음 또는 그 밖의 파형이 생기는 것. |
Buckling |
510.006 |
부 풀 음(가공) |
금형 내에 삽입된 원통형 용기 또는 관에 고압을 가하여 용기 또는 관의 일부를 부풀어 오르게 하는 성형 방법 |
Bulging |
510.007 |
거스러미, |
금속 재료를 절단하거나 구멍을 뚫는 경우 절단면 가장자리에 생기는 뒤말림. |
Burr |
510.008 |
버 링(가공) |
재료판에 미리 뚫어 놓은 구멍에 플랜지를 내는 가공 |
Burring |
510.009 |
캠 버 |
블랭킹 가공 후 남아 있는 접시 모양의 변형 |
Camber |
510.010 |
주조 변형 |
주물을 냉각할 때 잔류 응력에 따라 생기는 변형 |
Casting strains |
510.011 |
콜로징인 |
원통(튜브 모양) 부품의 끝단을 오무리기 성형(포밍)하는 공정 |
Closing in |
510.012 |
냉간 드로잉 |
봉ㆍ선ㆍ관 등을 상온에서 다이를 통해 길게 늘려 만드는 드로잉 가공 |
Cold drawing |
510.013 |
냉간 포밍 |
학문적으로 그 재료의 재결정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가공하는 것. 보통은 실온에서의 가공 |
Cold forming |
510.014 |
냉간 헤딩 |
봉재, 와이어, 튜브재 등을 냉간에서 해머로 치거나 압력을 가해 굵고 짧게 하는 공정 |
Cold heading |
510.015 |
냉간 가공 |
벤딩, 드로잉 등에 의해 금속을 냉간으로 소성 변형하는 가공 |
Cold working |
510.016 |
크리프 성형법 |
금속 재료의 크리프 특성을 이용하여 가열 성형하는 교정법 |
Creep forming |
510.017 |
크 림 핑 |
병 뚜껑과 같이 부품의 가장자리를 누르고 오무리는 데 사용하는 포밍 가공 |
Crimping |
510.018 |
커 핑(가공) |
컵 모양의 부품을 드로잉하는 가공 |
Cupping |
510.019 |
컬(가공) |
얇은 판의 가장자리에 따라 또는 셀이나 튜브의 끝에 환형 횡단면의 가장자리를 성형(포밍)하는 것. |
Curling |
510.020 |
커 팅(절단) |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잘라 내는 가공 |
Cutting |
510.021 |
디프 드로잉 |
재료의 소성 유동 범이 내에서 박판재로부터 깊은 용기를 드로잉하는 것으로 깊이가 부품의 최소 나비와 같거나 그 이상인 가공 |
Deep drawing |
510.022 |
딤 플 링 |
박판에 부분적으로 오목한 모양을 만드는 포밍을 말하며 리벳 또는 볼트의 머리를 그 박판의 표면과 같은 높이로 죄게 하기 위한 가공 |
Dimpling |
510.023 |
텔레스코프 |
하나의 부품에 곡률 반지름이 큰 접시 모양으로 성형하는 가공 |
Dishing |
510.024 |
변형, 찌그러짐, |
소요의 윤곽 또는 모양에서의 편향 |
Distortion |
510.025 |
더블 시밍 |
금속의 에지를 접합하는 프로세스로 각 에지가 플랜지 가공되며, 거기가 굽혀 접은 금이 붙여지는 접합법 |
Double seaming |
510.026 |
연 성 |
재료의 성질의 하나로 인장에 있어서 파괴가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영구 변형에 견딜 수 있는 재료의 성질 |
Ductility |
510.027 |
이 어 링 |
룰 압연된 얇은 판이 소성 가공된 때의 방향성 때문에 드로잉된 용기의 상단부 가장자리 주위에 귀 모양 또는 부채꼴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것. |
Earing |
510.028 |
엠 보 싱(가공) |
재료의 두께에 변화를 주지 않고 비교적 얇은 새김이나 두드러지게 만드는 가공 |
Embossing |
510.029 |
익스팬딩(가공) |
관의 안지름을 넓히는 가공 |
Expanding |
510.030 |
압 출(가공) |
다이 안 소재에 펀치를 밀어 넣어서 공구의 간격으로부터 재료를 압출하는 방법 |
Extruding |
510.031 |
폴스 와이어링 |
박판, 셀 또는 튜브의 에지를 컬시키는 것으로 그 컬 내부에 와이어나 로드를 끼워 넣지 않는 방법 |
False wiring |
510.032 |
플 랜 징(가공) |
반완성품에 플랜지를 내는 가공 |
Flanging |
510.033 |
플레어링(가공) |
1. 원통형 부품 바깥쪽에 플랜지를 성형 가공하는 공정. |
Flaring |
510.034 |
플랫 에지 트리머 |
아래쪽의 다이가 캠 구동에 의해 수평으로 움직여 드로잉된 용기를 자르거나 노치를 깎는 기계 |
Flat edge trimmer |
510.035 |
플래트닝(다지기) |
리스트라이크 다이를 사용하거나 또는 그 밖의 방법으로 금속 표면을 평평하게 하는 것. |
Flattening |
510.036 |
플 루 팅 |
원통형 부품의 세로 방향에 홈을 파는 포밍 가공 |
Fluting |
510.037 |
포 밍(성형) |
금속 소재에 소성 변형을 가하여 모양을 변화시키는 것. |
Forming |
510.038 |
갤 링 |
미끄럼 접촉에서 2개의 금속면에 마찰이 발생하여 생기는 찰과흠 |
Galling |
510.039 |
홀 플랜징 |
구멍 주위에 플랜지를 성형하는 것. |
Hole flanging |
510.040 |
호퍼 피드 |
부품을 간직하도록 설계된 저장 상자인 동시에 개개의 부품을 골라서 자동적으로 슈트에 보내는 기구 |
Hopper feed |
510.041 |
열간 스탬핑 |
가열된 금속 다이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표면에 두루마리 금형박을 찍는 플라스틱 각인 작업 |
Hot stamping |
510.042 |
유압 부풀음 |
유압을 가하여 관의 내부를 확장시키는 성형 |
Hydraulic bulging |
510.043 |
충격 압출 |
치약 튜브와 같은 얇은 벽의 깊은 용기를 만들 때 적용되는 일종의 후방 압출 가공. 다이에 경금속을 넣고 펀치가 고속으로 하강하면 재료는 그 충격으로 신장됨. |
Impact extrustion |
510.044 |
압입 가공 |
재료의 일부분에 압축력을 가하여 알맞은 치수의 압흔을 가공하는 것 |
Indenting |
510.045 |
분 할 |
부품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서 차례로 하나의 프레스 가공 작업을 완성하는 것. |
Indexing |
510.046 |
인사이드 아웃 드로잉 |
드로잉된 용기 바깥쪽 밑에 펀치를 대고 내ㆍ외측이 뒤바뀌도록 가공하는 방법 |
Inside-out redrawing |
510.047 |
아이어닝(가공) |
드로잉된 제품 벽의 두께를 얇고 균일하게 하고 그 표면을 평활하게 하는 가공 |
Ironing |
510.048 |
조 글 링(가공) |
성형품을 겹칠 때 표면이 편평하게 되도록 릴리프를 만드는 가공 |
Joggling |
510.049 |
랜 싱(가공) |
공작물을 잘라 내거나 스크랩을 내지 않고 재료에 절압선을 내는 가공 |
Lancing |
510.050 |
리프트아웃 |
금형에서 부품을 배출하기 위해 볼스터 또는 프레스 베드 위에 놓이는 기구. 프로그레시브 다이와 같은 경우는 부품을 다음 위치에 전진시키기 위해 일정한 높이로 들어 올리는 기구 |
Liftout |
510.051 |
마 킹(가공) |
재료와 각인을 하는 가공 |
Marking |
510.052 |
네 킹(가공) |
원통 용기나 관재의 일부분을 축소하여 지름을 작게 하는 가공. 재료에 인장 응력을 가할 때 부분적으로 단면이 감소하는 현상 |
Necking |
510.053 |
노 징 |
튜브 모양의 부품 끝에서 지름을 줄여 곡면을 포밍하는 것. |
Nosing |
510.054 |
노치 취성 |
흠, 긁힌 흠.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노치 등이 있는 부분의 취성 |
Notch brittleness |
510.055 |
노 칭(가공) |
스트립, 블랭크 또는 부품의 가장자리에서 여러 가지 모양을 잘라 내는 것. |
Notching |
510.056 |
오버벤딩 |
스프링백을 감안하여 요구되는 굽힘 각도보다 더 작은 각도를 굽혀 주는 것. |
Overbending |
510.057 |
파 팅 |
1회의 스탬프 가공으로 2개 또는 그 이상의 부품을 만들기 위한 가공 |
Parting |
510.058 |
픽 오 프 |
다듬질된 부품을 틀에서 떼어 내기 위한 자동 장치로 부품이 틀에서 분리된 후에 이 작동이 이루어짐. |
Pickoff |
510.059 |
픽 업 |
가공된 금속에 접하는 금형 표면에 금속의 분자가 점착하는 것. |
Pickup |
510.060 |
구멍 뚫음 |
박판 또는 두꺼운 판재에 금형으로 구멍을 뚫는 것. |
Piercing |
510.061 |
핀 치 |
튜브 모양 부품의 가장자리를 트리밍하는 가공 |
Pinch |
510.062 |
플래니싱 |
해머 가공의 하나로 고도로 연마된 공구 또는 플래니싱 해머를 사용하는 가공법. 급속한 연속 블로로 부품은 밀도가 높은 평활한 다듬질 면이 됨. |
Planishing |
510.063 |
소 성 |
변형 응력이나 또는 그 이하로 환원시킨 후에도 변형이 남아 있는 재료의 성질 |
Plasticity |
510.064 |
예비 성형품 |
부분적으로 성형 가공된 부품으로 계속해서 다시 1공정 또는 그 이상의 가공을 요하는 부품 |
Preformed part |
510.065 |
예 열 |
그 이상의 열처리 또는 기계적 처리의 준비로 하는 가열 처리의 총칭 |
Preheating |
510.066 |
프 레 스 |
고정 베드 또는 앤빌과 그 베드면에 대해 직각으로 접근하거나 떨어지는 제어된 왕복 운동을 하는 슬라이드가 있는 기계로 그 슬라이드는 기계의 프레임에 안내되어서는 일정한 행정의 운동을 함. |
Press |
510.067 |
프레스 용량 |
프레스가 가할 수 있는 힘 또는 일량의 크기 |
Press capacity |
510.068 |
퍼 커 링 |
드로잉 제품의 옆벽 부분에 생기는 주름 |
Puckering |
510.069 |
펀 칭(가공) |
프레스로 여러 가지 모양의 것을 펀치를 이용하여 따내는 것. 단조 작업에서 강 또는 강편에 펀치로 쳐서 구멍을 뚫는 것. |
Punching |
510.070 |
재드로잉(가공) |
2번째 또는 그 이상의 드로잉 가공으로 컵 모양의 셀이 더욱 깊어지거나 횡단면의 치수가 축소됨. |
Redrawing |
510.071 |
리 듀 싱(가공) |
셀 또는 관상 부품의 횡단면 치수를 줄이는 모든 가공 드로잉. 아이어닝, 네킹, 테이퍼 링 및 각 드로잉 등을 포함 |
Reducing |
510.072 |
리 딩(가공) |
코인(주화) 가장자리의 둘레를 톱니 모양으로 하는 것. |
Reeding |
510.073 |
잔류 응력 |
불균등 소성 변형의 결과 또는 담금질이나 용접에서 심한 온도 구배에 의해 금속 안에 잔류하는 응력 |
Residual stress |
510.074 |
리스트라이킹(가공) |
그 전의 가공 공정에서 주어진 인장 변형을 중화하기 위해 스탬핑에 압축 변형이 도입되어 있는 사이징 가공 |
Restriking |
510.075 |
역드로잉 |
역드로잉을 사용해서 용기의 안쪽이 바깥쪽이 되도록 뒤집어 드로잉함으로써 그 지름을 감소시키는 가공 |
Reverse drawing |
510.076 |
스코어 링 |
1. 부품이 다이 위를 미끄러질 때 생기는 흠. |
Scoring |
510.077 |
스 크 랩 |
금형에 의한 성형으로 생기는 것 중에서 제품을 제외한 것들을 총칭 |
Scrap |
510.078 |
스크랩 커터 |
스크랩을 절단하는 장치 또는 스크랩 날 |
Scrap cutter |
510.079 |
이음매, 심 |
1. 2조각의 시트재 접합부에 성형되는 겹친 주름 또는 융기선. |
Seam |
510.080 |
시 밍(가공) |
시트 금속의 2개의 에지를 여러 겹 굽혀서 접속하는 프로세스 |
Seaming |
510.081 |
녹아 붙음 |
압력과 미끄럼 마찰의 조합 작용에 의해 공작물에서 금속이 다이 멤버에 용착하는 것. |
Seizure |
510.082 |
세퍼레이팅(가공) |
2개 이상의 반완성품을 잘라 내는 가공 |
Separating |
510.083 |
시 트 |
두께 6.35mm까지의 금속 |
Sheet |
510.084 |
사 이 징(가공) |
금속의 흐름에 의해 치수 정밀도를 좋게 하는 2차 프레스 가공 공정 |
Sizing |
510.085 |
슬 리 팅(가공) |
하나의 선에 따른 절단 또는 전단으로 시트에서 스트립을 절단할 때나 시트 또는 부품을 일정한 길이, 윤곽선에 따라 절단할 때 사용 |
Slitting |
510.086 |
슬 로 팅(가공) |
재료에 가늘고 긴 홈을 파내는 가공 |
Slotting |
510.087 |
슬 러 그 |
압출 가공에 사용하는 막대 모양의 소재를 말하며 또한 시트 금속에 구멍 뚫음을 하거나 펀칭할 때 생기는 재료의 작은, 즉 스크랩 |
Slug |
510.088 |
스 포 팅 |
금형의 한 부품을 다름 부품과 밀착시키기 위해 완성된 부품 표면에 오일 컬러를 칠하고 그것에 예정 부품 표면을 눌러 맞추면 높은 부분에 색이 옮아서 찍히는 것을 이용하는 것. |
Spotting |
510.089 |
스 태 킹 |
하나의 부품을 다른 부품 내의 파인 곳이나 홈을 눌러 놓고 그 부분에 소성 흐름을 생기게 하여 2개의 부품을 영구 접합하는 공정 |
Stacking |
510.090 |
스 탬 핑(가공) |
1. 광으로는 프레스 가공, 형단조 등을 가리키며, 협의는 정말 금형에 의한 코이닝, 엠보싱 등을 가리킴. |
Stamping |
510.091 |
응력 균열 |
냉간 성형, 열처리 또는 급랭 등에 의해 잔류 응력이 있는 부분의 균열 |
Stress cracking |
510.092 |
응력 제거 |
주로 잔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열처리 |
Stress relief |
510.093 |
스트레치 포밍 |
성형되는 모양에 판재를 잡아 늘여서 하는 성형법 |
Stretch forming |
510.094 |
스트라이킹 |
펀치와 공작물 사이에서의 빠르고 강력한 접속이 이루어짐 |
Striking |
510.095 |
스트리핑 |
공작물 또는 부품을 펀치에서 떼어 내는 작업 |
Stripping |
510.096 |
테 이 퍼(가공) |
원통 부품에 표면을 만들기 위해 압축에 의해 금속이 신장되는 스웨이징 또는 드로잉 가공 |
Tapering |
510.097 |
삼점 굽힘 |
블랭크가 2점 사이에 놓이고 힘이 그 지점 사이에 가해지는 벤딩 가공 |
Three-point bending |
510.098 |
스 로 트 |
C형 프레임 프레스의 램 중심부터 뒷면의 공간부. 갭이라고도 함. |
Throat |
510.099 |
스 로 |
굽힘 프레스에서 가공되고 있는 부품을 성형 또는 지탱하기 위해 사용하는 금속 블록 |
Throw |
510.100 |
업 세 팅 |
축방향으로 냉간 가공 또는 열간 가공으로 압축하여 재료의 높이를 수축하고 옆으로 넓어지게 하는 가공 |
Upsetting |
510.101 |
진공컵 리프터 |
블랭크나 스트립을 들어 올리거나 이송암에 장치된 고무의 흡인 컵으로 재료 창고에서 들어 올려 운반하는 기구 |
Vacuum-cup lifter |
510.102 |
와이퍼 블록 |
부분적인 와이어 포밍 중 압력을 가하는데 쓰이는 성형 재료를 와이퍼 포밍하는 데 사용되는(압력을 가하는 데 사용) 폼 블록 |
Wiper block |
510.103 |
와이퍼 포밍 |
폼 블록 또는 다이 위에서 공작물을 곡선 가공하는 방법을 말하며 폼 블록은 와이퍼 또는 슬라이드 블록에 대해서 회전하게 됨. |
Wiper forming |
510.104 |
와이어링 |
시트나 튜브의 끝을 컬시키는 포밍으로 와이어 또는 로드를 그 컬시킨 에지 속에 넣고 감는 가공법 |
Wiring |
510.105 |
주름 발생 |
압축 응력을 받아 버클링이 생겨 금속 부품이 파형으로 되는 상태 |
Wrinkling |
510.106 |
항 복 점 |
응력이 증가하지 않아도 변형이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는 응력점 |
Yield point |
510.107 |
로 딩 |
재료를 기계나 장치에 송입하여 부착하는 것. 픽업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음. |
Loading |
번 호 |
용 어 |
정 의 |
대응 영어 |
520.001 |
후경화 |
열경화성 수지가 성형 후 가열 또는 방치됨에 따라 계속 경화가 진행되는 것. |
After cure |
520.002 |
후수축 |
이형 후 24시간 이후에 생기는 성형품의 수축 또는 성형품을 일정한 조건 하에서 가열했을 때의 수축 |
After shrinkage |
520.003 |
에어 이젝션 |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성형품을 코어 또는 캐버티로부터 축출하는 방법 |
Air ejection |
520.004 |
에어 믹스 |
원뿔형의 용기 밑에 설치한 노즐에서 기류를 나선 모양으로 불어 올려서 재료 입자를 이 기류에 의해서 교반하는 것. |
Air mix |
520.005 |
백 몰딩 |
형의 주위에 고무와 같이 탄성체로 공기압 또는 유압을 가하면서 틀 중의 수지를 응고시키는 것. |
Bag moulding |
520.006 |
흑 줄 |
사출기, 사출 성형기 등의 가열 실린더 내에서 성형 재료가 열분해를 일으키기 때문에 성형품의 표면에 발생하는 흑줄 무늬 |
Black streak |
520.007 |
블로 성형 |
공기나 가스의 압력을 이용하는 성형 방법. 성형품을 틀 속에 넣고 내부에 공기를 불어 넣어서 중공품을 만드는 성형법 |
Blow moulding |
520.008 |
불 루 잉 |
높은 성형 온도로 금형 표면에 산화물 막이 생기는 것 또는 투명 제품은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얻기 위하여 약간의 청색 착색제를 배합하는 것. |
Blueing |
520.009 |
기 포 |
플라스틱 제품 내부에 구상의 기포로 발생하는 결점 |
Bubble |
520.010 |
주 조 |
금속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녹인 금속을 주형에 흘려 넣어 냉각해서 성형하는 방법 |
Casting |
520.011 |
셀 |
막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여 있는 미세한 단일 공간 |
Cell |
520.012 |
상온 성형 |
저온 성형 혼합 재료를 높은 온도에서 성형한 다음에 구워서 경화시키는 가공 |
Cold moulding |
520.013 |
상온 경화 |
열경화성 수지에 촉매를 첨가시켜 가열하지 않고 경화시키는 것. |
Clod setting |
520.014 |
콜드 슬러그 |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서 금형에 먼저 들어간 재료는 노즐이나 스프루를 통해서 급히 냉각되어 캐버티에 들어가면 다른 성형 재료와 융착이 잘 안 되어 성형 불량의 원인이 되는 냉각된 재료 |
Cold slug |
520.015 |
콜드 슬러그 웰 |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 금형에 있어서 콜드 슬러그를 수요하기 위해서 스프루나 러너의 끝에 수지가 모이는 곳 또는 웰드 라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그 바깥쪽에 설치한 수지가 모이는 곳. |
Cold slug well |
520.016 |
콜드 러너 성형 |
스프루 미 러너 시스템을 금형의 다른 부분과 단열해 놓고 그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이 부분을 흐르는 플라스틱 원료를 유동체로 유진하는 성형(법) |
Cold-runner moulding |
520.017 |
압 축 |
소재를 금형에 통과시켜 냉간으로 압축력을 가하여 그 높이나 길이를 축소시켜 필요한 모양을 얻는 가공법 |
Compression |
520.018 |
압축 성형 |
성형할 혼합 원료(보통 미리 가열한다.)를 가열한 금형을 열고 그 캐버티에 넣은 다음에 압력을 가하여(보통 유압 프레스로) 금형을 닫아서 원료가 펴져서 캐버티를 완전히 채우게 하고 원료가 굳을 때까지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성형하는 열경화성 성형법 |
Compression moulding |
520.019 |
압축 시험 |
플라스틱 재료가 압축을 어느 정도 견디는지에 대한 저항성의 시험 |
Compression test |
520.020 |
잔 금 |
도자기 등에 생긴 가늘고 잔 금과 같이 성형품의 표면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는 현상. 균열보다 낮은 응력으로 발생 |
Crazing |
520.021 |
경화 시간 |
열경화성 수지를 가열하고 또는 여기에 촉매 등을 첨가한 때에 그 수지가 경화를 개시하면서 성형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 |
Curing time |
520.022 |
데이 라이트 |
압축 성형기의 고정측 설치판과 가동측 설치판을 최대로 열었을 때 그 간격 |
Day light |
520.023 |
가스 제거 |
유동 상태의 수지 중에 혼입되어 있는 공기, 그 밖의 가스를 제거하는 것. |
Degassing |
520.024 |
중 합 도 |
1. 분자들이 규칙적인 반복 단위로 구성되었을 때 분자당 기본 단위의 (평균)수. |
Degree of polymerization |
520.025 |
다이캐스팅 |
금형에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의 금속을 기계압, 공기압 또는 수압으로 가압 주입하여 형의 내용적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주물을 만드는 것(주조) |
Diecasting |
520.026 |
이중 사출 성형 |
사출 성형할 때 한 번 성형한 성형품을 다른 금형에 넣어 그 위에 다시 성형 재료를 충전하여 완성품으로 만드는 성형 |
Double-shot moulding |
520.027 |
건식 배합 |
분말 또는 입상의 플리머를 용융시키지 않고 여러 가지 첨가물을 간단히 혼합하여 얻어지는 성형 재료 또는 그 제조 방법. 필요한 모든 성분이 혼합된 건상 유동성 분말상의 성형 혼합 |
Dry blend |
520.028 |
건식 착색 |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착색제를 배합하는 기술의 한 방법. 먼저 착색 팔레트를 만들지 않고 팔레트와 분말 모양의 착색제와의 거친 배합물에서 직접 착색 성형품을 만드는 착색 방식 |
Dry coloring |
520.029 |
드라이 사이클 타임 |
성형 재료를 공급하지 않고 성형기를 "공운전" 하였을 경우 1사이클에 소요된 최소 작동 시간을 말하며 성형기의 능력을 표시하는 하나의 기준 |
Dry cycle time |
520.030 |
보 압 |
사출 성형에서 금형에 성형 재료를 충전한 후 그대로 잠시 사출 압력을 유지하는 것을 말하며 유지압이라고도 함. |
Dwelling , holding |
520.031 |
이 젝 션 |
금형에서 성형된 제품을 밀어 내는 것. |
Ejection |
520.032 |
이 젝 터 |
금형에서 성형품을 밀어 내는 장치의 총칭 |
Ejection |
520.033 |
연장 노즐 |
사출 성형기의 노즐이 캐버티나 게이트부까지 연장되어 있거나 표준 노즐보다 긴 노즐 |
Extension nozzle |
520.034 |
압 출 기 |
열가소성 수질 가열하여 스크루로 연속적으로 다이에서 압출하여 성형하는 기계 |
Extruder |
520.035 |
압 출 |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 방법의 일종으로 성형 재료를 압출기 중에서 가열 가압하여 유동 상태로 하고 다이에서 연속적으로 압출함에 따라서 성형 |
Extrusion |
520.036 |
충 전 제 |
플라스틱의 강도, 내구성, 작업성 및 그 밖의 성질을 개선하거나 가격을 싸게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비교적 불활성인 고체 물질 |
Filler |
520.037 |
필름 블로잉 |
플라스틱 재료를 원통 모양으로 압출하여 내부에 공기 또는 가스를 주입하여 팽창시킴으로써 두께가 얇은 필름을 성형하는 것. |
Film blowing |
520.038 |
피시 아이 |
플라스틱 원료의 혼합이 불안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에 생긴 작은 구상의 기포를 말한다. 결함에 사용하는 말로서 주위의 재료와 잘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생긴 투명 및 반투명 재료에 뚜렷하게 나타나는 미세한 둥근 덩어리 |
Fish eye |
520.039 |
플로 마크 |
금형 캐버티 내에서 성형 재료의 흐른 자국이 남아 겉모양의 결점이 되는 모양 |
Flow mark |
520.040 |
플로 시트 |
흐름 작업의 공정을 알기 쉽게 도해한 것. |
Flow sheet |
520.041 |
유동 시험 |
플라스틱의 성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시험 방법 |
Flow test |
520.042 |
포 밍(성형) |
시트, 로드, 파이프 등의 플라스틱 제품을 원하는 모양 치수로 변형하는 모양 |
Forming |
520.043 |
프로스팅 |
수지가 균일하게 녹지 않아서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에 나타나는 결정 모양 |
Frosting |
520.044 |
가스 사출 성형 |
플라스틱 성형품 내부를 중공으로 하기 위해 사출 후 가스를 주입하여 성형하는 방법 |
Gas(assisted) injection moulding |
520.045 |
겔 |
콜로이드상 용액의 증발, 냉각 또는 변화 등에 따라 발생하는 젤리 모양의 반고체 |
Gel |
520.046 |
열변형 온도 |
플라스틱을 일정 조건(일정 하중) 하에서 일정 속도로 온도를 상승시켰을 때 소정의 변형을 나타내는 온도 |
Heat distortion tempera-ture |
520.047 |
가열 실린더 |
사출 및 압출용 성형기의 일부로서 성형 재료의 가소화 및 수송을 하는 원통 부분 |
Heating cylinder |
520.048 |
가 열 판 |
압출 성형기의 고정판 및 이동판에 부착된 금형 내의 재료에 열을 부여하는 것으로 금형을 가열하는 판 |
Heating plate |
520.049 |
호 퍼 |
성형기, 혼합기, 분쇄기 등에 부속된 깔때기 모양의 성형 재료 투입구 |
Hopper |
520.050 |
호퍼 건조기 |
사출 성형 및 압축 성형기에 있어서 성형 재료의 건조 장치를 부속시킨 호퍼 |
Hopper dryer |
520.051 |
호퍼 로더 |
성형 재료를 저장 탱크로부터 파이프를 통하여 호퍼에서 자동적으로 투입하는 장치이며 보통 공기 기류를 이용하여 재료를 수송 |
Hopper loader |
520.052 |
열간 프레스 성형 |
프레스 가압판에 히터를 설치하여 가압 성형하는 것. |
Hot press moulding |
520.053 |
사출 블로 성형 |
성형 재료를 사출한 후 공기를 주입 성형하는 방법. 보기를 들면 플라스틱 음료수 병 수지 재료를 주입한 후 공기를 주입하여 병을 만드는 것. |
Injection blow moulding |
520.054 |
사출 용량 |
사출 성형기가 1회의 사출 공정에서 사출할 수 있는 성형 재료의 부피(㎤)나 무게(g), 온스(oz) 성형기의 크기(ton)로 표시 |
Injection capacity |
520.055 |
사출 압축 성형 |
성형 재료를 사출한 후 압축하여 성형하는 것을 말하며 얇은 판형 금형에 많음. |
Injection compression |
520.056 |
사출 성형 |
성형 재료를 가열 용융시켜 밀 닫혀진 금형의 캐버티에 사출 충전 후 응고 또는 경화시켜 성형품으로 하는 성형법 |
Injection moulding |
520.057 |
사출 노즐 |
사출 기계의 성형 재료가 나오는 출구 |
Injection nozzle |
520.058 |
사출 압력 |
사출 성형기에서 성형 재료를 사출하는 압력. 플런저의 앞끝 또는 인-라인 스크루식 사출 성형기에서는 스크루의 앞끝에 걸리는 압력(kg/㎠, ton) |
Injection pressure |
520.059 |
사 출 률 |
사출 성형기에서 사출되는 성형 수지의 단위 시간당 성형 재료의 사출량 또는 사출 수지 속도(㎤/sec) |
Injection rate |
520.060 |
사출 속도 |
시출 성형에서 성형 재료가 단위 시간당 캐버티에 사출되는 그램수. 실제로 성형되었을 때의 사출률 |
Injection speed |
520.061 |
인서트 성형 |
금형에 성형품 일부를 미리 넣고 성형 재료를 주입하여 성형하는 것. |
Insert moulding |
520.062 |
내부 응력 |
고체 내부에 축적된 응력 |
Internal stress |
520.063 |
적 층 품 |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재료층을 중첩 접착하여 만든 제품 |
Laminates |
520.064 |
적층 성형 |
열경화성 수지 용액을 여러 장의 박판(베니어), 천, 종이 등에 침투시켜 건조한 것을 겹쳐서 가열 압축하여 판상 성형하는 방법 |
Laminating |
520.065 |
액상 사출 성형 |
두 가지 이상의 성분이 다른 액체 수지를 그 비율을 정하여 혼합하여 생긴 혼합물을 압력하에 닫힌 금형 속에 직접 사출하는 일괄 방식의 성형법 |
Liquid injection moulding |
520.066 |
저압 성형 |
성형 방법의 일종으로 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적층품 제조에 사용(일반적으로 압력은 30kg/㎠ 이하) |
Low pressure moulding |
520.067 |
멜트 인덱스 |
열가소성 수지가 용융될 때 유동성을 나타내는 척도 |
Melt index |
520.068 |
형 체결 기구 |
성형기의 금형을 개폐하는 장치 |
Mould clamping mecha- nism |
520.069 |
금형 폐쇄 시간 |
금형이 닫혀 있는 시간 |
Mould closing time |
520.070 |
금형 인서트 |
금형에서 성형할 때 미리 넣는 삽입물 |
Mould insert |
520.071 |
금형 자국 |
금형의 상처가 성형품에 그대로 복사되는 겉모양의 결점 |
Mould mark |
520.072 |
형 개방력 |
금형에서 성형한 후 성형 제품을 빼내기 위해 열릴 때 가하는 힘 |
Mould opening force |
520.073 |
몰드 심 |
금형의 캐버티의 가동 부품, 윤활 캠 등과 같은 금형의 구성물에 의해 만들어진 선 등이 성형품에 생긴 마크 |
Mould seam |
520.074 |
몰 딩(성형) |
플라스틱 재료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유동시켜 금형 등을 사용하여 소정의 치수 모양으로 성형하는 것. |
Moulding |
520.075 |
성 형(공정) |
재료를 금형 또는 형틀에서 압력과 열을 가하여 어떤 모양으로 만드는 과정 |
Moulding(process) |
520.076 |
성형 사이클 |
성형을 위하여 필요한 1회의 작업을 시작하여 종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 즉 금형이 닫힐 때부터 열릴 때까지의 시간 |
Moulding cycle |
520.077 |
성 형 품 |
닫혀진 형틀 내에서 만들어진 물체(압축 성형, 트랜스퍼 성형, 사출 성형 등에서) |
Moulding product |
520.078 |
성형 수축 |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빼내어 실온까지 냉각시키면 수축이 생기는데 이형 후 24시간 이내에 생기는 수축(그 후에 생기는 수축을 후 수축이라 한다.) |
Moulding shrinkage |
520.079 |
성형 온도 |
성형할 때 성형 재료를 가열하여 가소성을 주거나 또는 경화하는 데 필요한 온도 |
Moulding temperature |
520.080 |
성형 시간 |
열 경화성 수지를 성형할 때에 성형 재료를 경화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으로 금형을 닫은 순간부터 압력을 제거하는 순간까지의 시간 |
Moulding time |
520.081 |
노치 효과 |
구멍이나 작은 상처 등이 있는 재료에 응력을 가하면 그 집중 응력에 의하여 강도가 저하하는 효과 |
Notch effect |
520.082 |
오픈 어셈블리 타임 |
플라스틱 시트의 성형품 등을 접착제로 조합하는 경우 접착제를 바른 다음 어느 정도 용제가 증발하는 것을 기다려서 접합면을 맞추어 클램프하는 것. |
Open assembly time |
520.083 |
개방 기포 |
플라스틱 제품 표면에 나타나는 일종의 기포 |
Open bubble |
520.084 |
개방 셀 |
기포막에 의하여 완전히 덮여 있지 않으므로 다른 기포나 외부와 연결되는 기포 |
Open-cell |
520.085 |
아웃서트 성형 |
인서트에서는 플라스틱 성형품 내에 금속제 부품이 삽입되나, 아웃서트에서는 그 반대로 금속 제품상에 플라스틱 부분이 사출 성형 된다. 보기를 들면, 플라스틱 베어링부, 플라스틱 커넥터 등 |
Outsert moulding |
520.086 |
과잉 충전 |
사출 성형에서 캐버티에 성형 재료가 너무 많이 들어가 밀도가 너무 높아진 것을 말하며 내부 응력의 원인이 됨. |
Over packing |
520.087 |
평행식 적층품 |
적층물에 관한 것으로서 재료의 모든 층이 결 방향 또는 인장시 가장 센 방향으로 거의 평행으로 되어 있는 것. |
Parallel laminated |
520.088 |
소성 유동 |
물체가 파괴되지 않고 영구히 변형할 때 생기는 현상 |
Plastic flow |
520.089 |
가 소 화 |
수지에 가소성을 부여하여 유리 전이점을 저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 또는 열을 가하는 것. |
Plasticization |
520.090 |
가 소 제 |
수지의 가소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제품에 유연성을 주기 위하여 첨가하는 액체상 또는 고체상의 물질 |
Plasticizer |
520.091 |
가소화 효율 |
가소제가 수지를 가소화하는 능률 |
Plasticizing efficiency |
520.092 |
중 합 |
단위체 분자가 서로 결합하여 중합체를 형성하는 화학 반응(부가 중합, 축합 중합 참조) |
Polymerization |
520.093 |
예비 성형품 |
분말 모양, 입자 모양 또는 섬유 모양 플라스틱 성형 재료를 다져서 형태를 만든 덩어리 또는 수지가 들었거나 들지 않은 섬유 모양 충전제를 다져서 형태를 만든 덩어리 |
Preform |
520.094 |
예비 혼합물 |
수지, 보강제, 충전제 등의 혼합물로서 직포 모양이나 필라멘트 모양이 아닌 형태 |
Premix |
520.095 |
수지 얼룩 |
적층 플라스틱 표면에서 과잉 수지로 생긴 얼룩 |
Resin streak |
520.096 |
체류 시간 |
성형 재료가 사출 실린더에 들어가서 나올 때까지의 시간 |
Returning time |
520.097 |
회전 성형 |
열가소성 재료의 속이 반제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재료를, 한 개 또는 두 개의 축선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속이 빈 금형에 충전하면 금형이 회전되면서 재료가 금형의 전 내면을 고루 불게 되며 이어서 가열된 금형은 이 재료를 용융시켜서 제품을 성형하는 것. |
Rotational moulding ; rotomoulding |
520.098 |
미 성 형 |
불완전 충전, 즉 사출 압력을 부족, 게이트 단면적의 과소, 재료의 용융 정도 과소 등의 원인에 의해서 성형 재료가 금형 캐버티 내에 완전히 충전되지 않는 현상 |
Short shot |
520.099 |
수 축 |
성형품의 부피가 축소하는 것. 성형시 수지의 수축을 성형 수축, 성형을 한 다음의 수축을 후 수축이라 함. |
Shrinkage |
520.100 |
은 줄 |
사출 성형품의 표면에 나타나는 은색의 줄로 성형 불량의 일종 |
Silver streak |
520.101 |
면 수 축 |
사출 성형할 때 금형 내의 성형 재료가 내부 수축에 따라 금형에서 성형된 표면 일부가 움푹 들어간 오목부 |
Sink mark |
520.102 |
이형 불량 |
성형품을 빼낼 때 긁힘, 변형, 균열 등의 불량 현상 |
Sticking of part in the mould |
520.103 |
응력 균열 |
인장 강도보다 작은 인장 응력에 의해서 재료의 표면 또는 내부에 생기는 균열 |
Stress crack |
520.104 |
합성 수지 |
석유, 석탄 등을 주원료로 메탄, 벤젠용 화합물과 합성에 의하여 만들어진 플라스틱 |
Synthetic resin |
520.105 |
트랜스퍼 성형 |
압축 성형의 금형에 작은 구멍의 유로를 내고 성형 재료(열경화성 수지)를 금형 윗부의 포트에 넣고 가열하여 연화시킨 다음 플런저로 금형 속에 압입하는 방법 |
Transfer moulding |
520.106 |
트 리 머 |
사이드 트리머는 주로 압연된 코일재 양 끝부를 곧게 맞추기 위해 좌우에 각 1조 회전식 커터를 갖춘 슬리터의 일종 |
Trimmer |
520.107 |
이색 사출 성형 |
금형 내에 2가지 이상 색깔이 다른 성형 재료를 순차적으로 주입하여 성형하는 것. |
Two-color injection |
520.108 |
진공 성형 |
플라스틱 등의 성형에서 형(금형의 성형 공간)의 표면을 진공 상태로 하여 관을 흡입하여 성형하는 방법 |
Vacuum forming |
520.109 |
진공 사출 공정 |
캐버티 내의 공기를 빼내고 진공 상태로 하여 사출하는 공정 |
Vacuum injection process |
520.110 |
보 이 드 |
발포성 플라스틱에서 우연히 생긴 공간으로 특성이 되는 일반 기포보다 더 큰 것. |
Void |
520.111 |
휨(변형) |
성형품의 내부 응력 또는 수축 때문에 일어나는 변형 |
Warpage |
520.112 |
웰드 마크 |
성형 재료가 금형 안의 핀이나 코어 등의 주위를 흘러서 합류 하기 때문에 생기는 선 모양의 마크 |
Weld mark of weld line |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P / R / S / T / U / V / W / Y ]
대응 영어 |
용 어 |
Accelerated ejector or kocker box |
가속 이젝터 |
Accelerated ejector pin |
가속 이젝터 핀 |
After cure |
후경화 |
After shrinkage |
후수축 |
Air cylinder |
에어 실린더 |
Air ejection |
에어 이젝션 |
Air mix |
에어 믹스 |
Air vent pin |
가스(공기) 빼기 핀 |
Air vent valve |
가스(공기) 빼기 밸브 |
Angle core slide |
앵글 코어 슬라이드 |
Angle pin |
앵글 핀 |
Angular cam |
앵귤러 캠 |
Annealing |
어닐링(풀림) |
Assembling die(assembly die) |
어셈블링 다이(금형) |
Automatic ejection |
자동 이젝션 |
대응 영어 |
용 어 |
Back post round die set |
백포스트 다이 세트(원형) |
Back post standard die set |
백포스트 다이 세트(표준형) |
Back post standard die set(square) |
백포스트 다이 세트(정사각형) |
Back post standard die set(rectangular) |
백포스트 다이 세트(직사각형) |
Backing plate round(for punch) |
배킹 플레이트(원형) |
Backing plate, rectangular |
배킹 플레이트(직사각형) |
Baffle plate |
배플 판 |
Bag moulding |
백 몰딩 |
Ball bearing cage or retainer |
볼 리테이너 |
Ball lock retainer - end type |
볼 로크 리테이너 |
Ball lock retainer - square type |
볼 로크 리테이너(정사각형) |
Ball - bearing straight bush |
볼 베어링 부시 |
Ball - lock punch blank |
볼 로크 블랭킹 펀치 소재 |
Ball - lock punch, round |
볼 로크 펀치(원형) |
Base plate for fine blanking |
파인 블랭킹 베이스판 |
Basic head type straight punch |
스트레이트 펀치(기본형) |
Bead |
비 드 |
Beading |
비 딩(가공) |
Belleville washer(spring) |
접시 스프링 |
Bend allowance |
굽힘 여유 |
Bend angle |
굽 힘 각 |
Bend radius |
굽힘 반지름 |
Bending |
굽 힘(가공) |
Bevel(angle) |
베 벨 각 |
Biscuit block or spreader |
비스킷 블록 |
Black streak |
혹 줄 |
Blade-type punch |
깃타입 펀치 |
Blade-type punch blank |
깃타입 펀치 소재 |
Blank |
블 랭 크 |
Blank development |
블랭크 전개 |
Blank holder |
블랭크 홀더 |
Blanking |
블랭킹(가공) |
Blanking die |
블랭킹 다이(금형) |
Blow mould(for plastics) |
블로 금형(플라스틱용) |
Blow moulding |
블로 성형 |
Blueing |
블 루 잉 |
Bolster plate |
볼스터 플레이트 |
Boss |
보 스 |
Boss guide post support |
가이드 포스트 지지대 |
Bottom ejection |
하부 이젝션 |
Bronze headed guide bush |
단붙이 청동 가이드 부시 |
Bubble |
기 포 |
Buckling |
버클링, 좌굴 |
Bulging |
부 풀 림(가공) |
Bulging die |
벌징 다이(금형) |
Bumper block |
범퍼 블록 |
Bumper rod |
범퍼 로드 |
Burnishing |
버 니 싱 |
Burnishing die |
버니싱 다이(금형) |
Burr |
거스러미, 귀 |
Burr side |
거스러미 방향 |
Burring |
버 링(가공) |
Bush(guided ejection) |
부시(가이드 핀용) |
Bush(unscrewing device) |
부시 |
Bushing clamp |
부시 클램프 |
대응 영어 |
용 어 |
Cam die |
캠 다이(금형) |
Camber |
캠 버 |
Carbonitriding |
침탄질화 |
Carburizing |
침 탄 |
Case hardening |
표면 경화 |
Casting |
주조 |
Casting mould(for plastics) |
주조 금형(플라스틱) |
Casting strains |
주조 변형 |
Cavity |
캐버티 |
Cell |
셀 |
Center post round die set |
센터 포스트 다이 세트(원형) |
Center post standard die set(rectangular) |
센터 포스트 다이 세트(직사각형) |
Center-gated-mould |
센터 게이트 금형(몰드) |
Clamp plate(back plate) |
설 치 판 |
Clamp slot |
클램프 슬롯 |
Clamping force |
형 체결력 |
Clamping unit |
고정 유닛 |
Clearance |
틈 새 |
Closing in |
클로징 인 |
Coining die |
코이닝 다이(금형) |
Cold drawing |
냉간 드로잉(가공) |
Cold forming |
냉간 포밍(가공) |
Cold heading |
냉간 헤딩 |
Cold hobbing |
냉간 호빙 |
Cold moulding |
상온 성형 |
Cold setting |
상온 경화 |
Cold slug |
콜드 슬러그 |
Cold slug well |
콜드 슬러그 웰 |
Cold working(cold forming) |
냉간 가공 |
Cold-runner moulding |
콜드 러너 성형(몰딩) |
Combination angle-head punch with nib-point |
접시(머리) 가는 펀치 |
Combination angle-head straight punch |
접시(머리) 펀치 |
Combination die |
콤비네이션 다이(금형) |
Compound die |
콤파운드 다이(금형) |
Compression |
압 축 |
Compression mould |
압축(성형) 금형 |
Compression mould(for rubber) |
압축 성형 금형(고무용) |
Compression mould insert |
압축 금형 인서트 |
Compression moulding |
압축 성형 |
Compression test |
압축 시험 |
Compression-thermosetting mould(for plastics) |
열경화성 수지 압축(플라스틱용) 금형 |
Computer aided design(CAD) |
컴퓨터 이용 설계(CAD) |
Computer aided manufacturing(CAM) |
컴퓨터 이용 제조(CAM) |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CIM) |
컴퓨터 통합 생산(CIM) |
Cooling channel |
냉각 수로 |
Cooling fixture shrink fixture |
고정구(변형 방지용) |
Cooling spiral |
냉각 스파이럴 |
Cooling tube |
냉각 튜브 |
Core |
코 어 |
Core(cover impression insert) |
코 어 |
Core pin |
코어 핀 |
Core retaining plate(or plate) |
코어 지지판 |
Core slide block(slide carrier) |
코어 슬라이드 블록 |
Core stripper plate |
코어 스트리퍼 판 |
Coupling shank |
커플링 섕크 |
Crack |
균 열 |
Crazing |
잔 금 |
Creep forming |
크리프 성형법 |
Crimping |
크 림 핑 |
Cupping |
커 핑(가공) |
Curing time |
경화 시간 |
Curling |
컬 링(가공) |
Curling die |
컬링 다이(금형) |
Cutting |
커 팅(절단) |
대응 영어 |
용 어 |
Day light |
데이 라이트 |
Deep drawing |
디프 드로잉(가공) |
Deflection(deflexion) |
처 짐 |
Degassing |
가스 제거 |
Degree of polymerization |
중 합 도 |
Demountable ball bearing boss bush |
분해형 볼 베어링 보스 부시 |
Demountable ball bearing bush-toe clamp |
분해형 볼 베어링 부시 |
Demountable ball bearing shoulder bush, screw retention |
분해형 볼 베어링 단붙이 부시(나사 죔형) |
Demountable boss bush liner |
분해형 보스 부시 라이너 |
Demountable bush |
분해형 부시 |
Demountable bush liner |
분해형 부시 라이너 |
Demountable guide bush-bronze or bronze plated toe clamp |
분해형(평판) 청동 가이드 부시 |
Demountable shoulder bush, screw retention |
분해형 단붙이 부시(나사 죔형) |
Diagonal post standard die set(square) |
대각선 포스트 다이 세트(정사각형) |
Diagonal post standard die set(rectangular) |
대각선 포스트 다이 세트(직사각형) |
Die |
다 이(금형) |
Die block(die plate) |
다이 블록 |
Die clearance |
다이(금형) 틈새 |
Die corner radius |
다이각 반지름 |
Die cushion |
다이 쿠션 |
Die for forging |
단조 금형 |
Die for powders |
분말 성형 금형 |
Die for pressing, stamping, punching |
프레스 금형 |
Die for wire drawing |
드로잉 다이 |
Die gap |
다이 간격 |
Die height |
다이 높이 |
Die holder |
다이 홀더 |
Die insert retainer |
다이 인서트 리테이너 |
Die land |
다이 랜드 |
Die radius |
다이각 반지름 |
Die set |
다이 세트 |
Die set coupling with thread, shank mounting |
다이 세트 커플링(나사형) |
Die set coupling, flange type, shank mounting |
다이 세트 커플링(플랜지형) |
Die set coupling, with flange |
다이 세트 커플링(플랜지형) |
Die spring, rectangular wire |
다이 스프링(직사각형) |
Die spring, round wire |
다이 스프링(원형) |
Die spring, rubber |
다이 스프링(고무) |
Die spring, square wire |
다이 스프링(정사각형) |
Die stop |
다이 스톱 |
Diecasting |
다이캐스팅 |
Diecasting mould |
다이캐스팅 금형 |
Dimpling |
딤 플 링 |
Dimpling die |
딤플링 다이(금형) |
Dinking die |
딩킹 다이(금형) |
Direct gate |
디렉트 게이트 |
Dishing |
디 싱(가공) |
Disk gate |
디스크 게이트 |
Distortion |
변형, 찌그러짐, 왜곡 |
Double action die |
복동 다이 |
Double seaming |
더블 시밍(가공) |
Double-shot moulding |
이중 사출 성형 |
Dowel hole |
맞춤핀 구멍 |
Dowel pin |
맞 춤 핀 |
Draft angle |
빼기 경사(각) |
Draw punch, rectangular |
드로(잉) 펀치(정사각형) |
Draw punch, round |
드로(잉) 펀치(원형) |
Draw radius |
드로 반지름 |
Drawability |
드로잉성 |
Dry blend |
건식 배합 |
Dry coloring |
건식 착색 |
Dry cycle time |
드라이 사이클 타임 |
Ductility |
연 성 |
Dwelling, holding |
보압, 유지압 |
대응 영어 |
용 어 |
Earing |
이 어 링 |
Ejection |
이 젝 션 |
Ejection ram |
이젝션 램 |
Ejector |
이 젝 터 |
Ejector blade |
이젝터 블레이드 |
Ejector bolt |
이젝터 볼트 |
Ejector bush |
이젝터 부시 |
Ejector holding die or moving bolster |
가동측 블록 |
Ejector housing |
이젝터 하우징 |
Ejector impression block or moving cavity insert |
인서트 캐버티 블록 |
Ejector impression pocket or bolster or insert cavity |
인서트 캐버티 블록 포켓 |
Ejector knockout rod |
이젝터 녹아웃 로드 |
Ejector pin |
이젝터 핀 |
Ejector pin(shoulder type) |
이젝터 핀(단붙이형) |
Ejector pin(straight type) |
이젝터 핀(평행형) |
Ejector plate |
이젝터 핀 받침판 하부 이젝터판, 이젝터 플레이트 |
Ejector plate guide bush |
이젝터 판 가이드 부시 |
Ejector plate guide pin |
이젝터 판 가이드 핀 |
Ejector plate return pin |
이젝터 판 리턴 핀 |
Ejector plate, moulds for plastic |
이젝터 판(플라스틱 금형용) |
Ejector retainer plate |
이젝터 판 고정판, 상부 이젝터 판 |
Ejector ring |
이젝터 링 |
Ejector rod |
이젝터 로드 |
Ejector sleeve(sleeve ejector) |
슬리브 이젝터 판 |
Ejector(base) plate |
이젝터 핀 받침판, 하부 이젝터 판 |
Elastic limit |
탄성 한도 |
Elasticity |
탄 성 |
Embossing |
엠 보 싱(가공) |
Embossing die |
엠보싱 다이(금형) |
Encapsulation mould(for plastics) |
피복 금형(플라스틱용) |
Encapsulation mould(for rubber) |
피복 금형(고무용) |
Engraving |
조 각 |
Expanding |
익스팬딩(가공) |
Expanding die |
확장 다이(금형) |
Explosion die |
폭발 성형 다이(금형) |
Extension nozzle |
연장 노즐 |
Extruder |
압 출 기 |
Extruding |
압 출(가공) |
Extrusion |
압 출 |
Extrusion die(or extruding die) |
압출 다이 |
Eye bolt |
아이 볼트 |
대응 영어 |
용 어 |
False wiring |
플스 와이어링 |
Fan gate |
팬 게이트 |
Feed roll |
(재료)이송 롤 |
Female mould |
오 목 형 |
Filler |
충 전 제 |
Fillet |
모 떼 기 |
Film blowing |
필름 블로잉 |
Film gate |
필름 게이트 |
Fine blank die set |
파인 블랭킹 다이 세트 |
Fine blank die set with round working area |
파인 블랭킹 다이 세트(원형) |
Fine blanking die |
파인 블랭킹 다이(금형) |
Finger guide plate |
핑거 안내판 |
Finger pin |
핑거 핀 |
Finish machined plate |
(다듬질 가공한)평 판 |
Finish machined round plate |
(다듬질 가공한)원 형 판 |
Finishing |
다 듬 질 |
Fish eye |
피시 아이 |
Fish tail die |
물고기 꼬리형 금형 |
Fixed bolster or insert cavity cover holding block |
고정측 블록(금형) |
Fixed bolster plate(cavity plate) |
고정측 형판 |
Fixed cavity insert(cover impression block) |
고정측 캐버티 인서트 |
Fixed clamp plate(top) or stationary side clamping plate |
고정측 설치판, 상부 고정판 |
Flanging |
플 랜 지(가공) |
Flaring |
플레어링(가공) |
Flash |
플 래 시 |
Flash fin |
플래시 핀 |
Flash mould |
플래시 금형 |
Flat edge trimmer |
플랫 에지 트리머 |
Flat washer, hardened |
평 와 셔 |
Flattening |
플래트닝(다지기) |
Floating die |
플로팅 다이(금형) |
Flow mark |
플로 마크 |
Flow sheet |
플로 시트 |
Flow test |
유동 시험 |
Fluting |
플 루 팅 |
Form punch |
총형 펀치 |
Forming |
포 밍(성형) |
Forming die |
포밍 다이(금형) |
Fouling |
파 울 링 |
Four-post die set(rectangular) |
4포스트 다이 세트(직사각형) |
Frosting |
프로스팅 |
대응 영어 |
용 어 |
Galling |
갤 링 |
Gang die |
갱 다이(금형) |
Gas(assisted) injection moulding |
가스 사출 성형 |
Gate |
게 이 트 |
Gate and runner or feed runner |
게이트 및 러너 |
Gate balance |
게이트 밸런스 |
Gate insert(feed plate) |
게이트 인서트 |
Gate land |
게이트 랜드 |
gel |
겔 |
Gib plate |
기브 판 |
Gravity casting mould |
중력 주조 금형 |
Guide pin bush or guide bush |
가이드 핀 부시 |
Guide-plate-fineblanking |
안내판(파인 블랭킹 금형용) |
Guide post lock ring |
가이드 포스트 로크 링 |
Guide post, press fit |
가이드 포스트 |
Guide post, center lock ring |
가이드 포스트(센터 로크링형) |
Guide(pin) bush |
가이드(핀) 부시 |
Guide-post bush |
가이드 포스트 부시 |
대응 영어 |
용 어 |
Hammer die(for forging) |
해머 다이(금형) |
Handling hole or lifting hole |
핸드 몰드(금형) |
Hand mould |
운반용(볼트) 구멍 |
Hardness |
경 도 |
Headed guide bush |
단붙이 가이드 부시 |
Headed guide post, screw retention |
단붙이 가이드 포스트(나사 죔형) |
Heading die |
헤딩 다이(금형) |
Headless die button, press fit |
평행 다이 버튼(압입식) |
Headless guide bush |
평행 가이드 부시 |
Head plate-fineblanking |
헤드판(파인 블랭킹 금형용) |
Head type die button |
단붙이 다이 버튼 |
Head type press fit punch blank |
단붙이 펀치 소재(압입식) |
Head type press fit punch oblong |
단붙이 타원형 펀치(압입식) |
Head type press fit round punch |
단붙이 원형 펀치(압입식) |
Heat conductivity |
열 전도도 |
Heat distortion temperature |
열변형 온도 |
Heating cylinder |
가열 실린더 |
Heating plate |
가 열 판 |
Heel block |
힐 블록 |
Hemming die |
헤밍 다이(금형) |
Hole flanging |
홀 플랜징 |
Hopper |
호 퍼 |
Hopper dryer |
호퍼 건조기 |
Hopper feed |
호퍼 피드 |
Hopper loader |
호퍼 로더 |
Horn die |
혼 다이 |
Hot press moulding |
열간 프레스 성형 |
Hot runner |
핫 러너 |
Hot runner mould |
핫 러너 금형 |
Hot runner nozzle |
핫 러너 노즐 |
Hot stamping |
열간 스탬핑(가공) |
Hydraulic bulging |
유압 부풀음(가공) |
대응 영어 |
용 어 |
Impact extrusion |
충격 압출(가공) |
In-mould casting(IMC) |
인몰드 코팅(IMC) |
In-mould decoration(IMD) |
인몰드 데코레이션(IMD) |
Inching |
인 칭 |
Indenting |
압입 가공 |
Indexing |
분 할 |
Injection blow moulding |
사출 블로 성형 |
Injection capacity |
사출 용량 |
Injection compression moulding |
사출 압축 성형 |
Injection mould(for rubber) |
사출 금형(고무용) |
Injection moulding |
사출 성형 |
Injection nozzle |
사출 노즐 |
Injection pressure |
사출 압력 |
Injection rate |
사 출 률 |
Injection speed |
사출 속도 |
Injection stretch blow mould |
인젝션 스트레치 블로 금형 |
Injection-thermoplastic mould(for plastics) |
열가소성 사출(플라스틱용) 금형 |
Injection-thermosetting mould(for plastics) |
열경화성 사출(플라스틱용) 금형 |
Insert |
인 서 트 |
Insert block(cavity) |
인서트 블록(캐버티) |
Insert block(core) |
인서트 블록(코어) |
Insert moulding |
인서트 성형 |
Insert pin |
인서트 핀 |
Inside-out redrawing |
인사이드 아웃 드로잉 |
Insulated runner mould |
단열 러너 금형 |
Integral hinge |
일체형 힌지 |
Internal stress |
내부 응력 |
Inverted die |
역방향 다이(금형) |
In vestment(or lost wax) casting mould |
인베스트먼트 주조 금형 |
Ironing |
아이어닝(가공) |
대응 영어 |
용 어 |
Jetting |
제 팅 |
Jig and fixture |
지그 . 공구 |
Joggle die |
단붙이 다이(금형) |
Joggling |
조 글 링(가공) |
대응 영어 |
용 어 |
Kicker actuator |
키커 장치 |
Kicker pin |
키커 핀 |
Knock out |
녹 아 웃 |
Knock out pin |
녹아웃 핀 |
대응 영어 |
용 어 |
Laminates |
적 층 품 |
Laminating |
적층 성형 |
Laminating mould(for plastics) |
적층 금형(플라스틱용) |
Lancing |
랜 싱(가공) |
Lancing die |
랜싱 다이(금형) |
Lancing die |
고무용 금형 |
Land |
랜 드 |
Leader pin |
가이드 핀 |
Leader pin bush(shoulder) |
가이드 핀 부시(단붙이형) |
Leader pin bush(straight) |
가이드 핀 부시(평행형) |
Leader pin bush guide(ejection) |
가이드 핀 부시 |
Leader pin bush or guide bush |
가이드 핀 부시 |
Leader pin(guided support piller) |
가이드 핀(서포트 필러) |
Liftout |
리프트아웃 |
Limit rod |
위치 제어봉 |
Liquid injection moulding(LIM) |
액상 사출 성형 |
Load |
하 중 |
Loading |
로 딩 |
Locating ring(movable half) |
로케이팅 링(반 이동형) |
Locating ring(stationary half) |
로케이팅 링(반 고정형) |
Locking block |
로킹 블록 |
Locking ring and retainer for guide post |
가이드 포스트용 로크 링과 리테이너 |
Locknut |
로크 너트 |
Long bronze demountable shoulder bush, screw retention |
분해형 단붙이 청동 부시 |
Loose core |
루스 코어 |
Low ressure casting mould |
저압 주조 금형 |
Low pressure moulding |
저압 성형 |
대응 영어 |
용 어 |
Marking |
마 킹(가공) |
Master die(for diecasting die) |
마스터 다이(다이 캐스팅 금형용) |
Matrix plate, rectangular |
매트릭스 판(직사각형) |
Matrix plate, round |
매트릭스 판(원형) |
Melt index |
멜트 인덱스 |
Metal insert |
금속 인서트 |
Migration of plasticizer |
가소제의 이행 |
Mould |
금형, 몰드 |
Mould base |
몰드 베이스 |
Mould clamping mechanism |
형 체결 기구 |
Mould closing time |
금형 폐쇄 시간 |
Mould for ceramics |
세라믹용 금형 |
Mould for concrete |
콘크리트용 금형 |
Mould for glass |
유리용 금형 |
Mould for mineral materials |
광물성 재료용 금형 |
Mould for plastics |
플라스틱용 금형 |
Mould for rubber |
고무용 금형 |
Mould insert |
금형 인서트 |
Mould land |
몰드 랜드 |
Mould mark |
금형 자국 |
Mould opining force |
형 개방력 |
Mould plate |
금형 판 |
Mould seam |
몰드 심 |
Moulding |
몰 딩(성형) |
Moulding(process) |
성 형(공정0 |
Moulding cycle |
성형 사이클 |
Moulding product |
성 형 품 |
Moulding shrinkage |
성형 수축 |
Moulding temperature |
성형 온도 |
Moulding time |
성형 시간 |
Moving bolster plate(core plate) |
가동측 형판 |
Moving clamp plate or movable side clamping plate |
가동측 설치판, 하부 고정판 |
Moving core pin |
가동 코어 핀 |
Multi-cavity mould |
다수 케버티 금형 |
Multiple gate mould |
다수 게이트 금형(몰드) |
대응 영어 |
용 어 |
Necking |
네 킹(가공) |
Nest |
네 스 트 |
Mormalizing |
노멀라이징(불림) |
Nosing |
노 징 |
Notch brittleness |
노치 취성 |
Notch effect |
노치 효과 |
Notching |
노 칭(가공) |
Nozzle |
노 즐 |
대응 영어 |
용 어 |
Open assemble time |
오픈 어셈블리 타임 |
Open bubble |
개방 기포 |
Open-cell |
개방 셀 |
Outsert moulding |
아웃서트 성형 |
Over packing |
과잉 충전 |
Overbending |
오버 벤딩 |
Overflow feeder land or gate land |
오버플로 피더 랜드 |
Overflow feeder or overflow gate |
오버플로 피더 |
Overflow well |
오버 플로 웰 |
대응 영어 |
용 어 |
Pad |
패 드 |
Parallel laminated |
평행식 적층품 |
Parallel(die base leg) |
패 럴 렐 |
Parting |
파 팅 |
Parting line(die parting line) |
파팅 라인 |
Pattern |
패 턴 |
Pedestal punch, rectangular |
플랜지 달린 펀치(직사각형) |
Pedestal punch, round |
플랜지 달린 펀치(원형) |
Perforating |
퍼포 레이팅 |
Perforating die |
퍼포 레이팅 다이(금형) |
Pickoff |
픽 오 프 |
Pickup |
픽 업 |
Piercing |
구멍 뚫음(가공) |
Piercing die |
구멍 뚫음 다이(가공) |
Pilot(pin) |
파 일 럿(핀) |
Pin gate |
핀 게이트 |
Pin point gate |
핀 포인트 게이트 |
Pinch |
핀 치 |
Planishing |
플래니싱 |
Plastic deformation |
소성 변형 |
Plastic flow |
소성 유동 |
Plastic working |
소성 가공 |
Plasticity |
소 성 |
Plasticization |
가 소 화 |
Plasticizer |
가 소 제 |
Plasticizing efficiency |
가소화 효율 |
Plunger |
플 런 저 |
Polymerization |
중 합 |
Polyurethane spring |
우렌탄 스프링 |
Postforming |
후성형 |
Preform |
예비 성형품 |
Preformed part |
예비 성형품 |
Preheating |
예 열 |
Premix |
예비 혼합물 |
Press |
프 레 스 |
Press capacity |
프레스 용량 |
Press fit straight sleeve bush |
압입식 슬리브 부시 |
Pressure pad, rectangular |
압력 패드(직사각형) |
Pressure pad, round |
압력 패드(원형) |
Pressure casting mould |
압력 주조 금형 |
Progression die, progressive die |
프로그레시브 다이(금형) |
Projected area |
투영 면적 |
Puckering |
퍼 커 링 |
Puller pin |
풀러 핀 |
Punch |
펀 치 |
Punch holder |
펀치 홀더 |
Punch holder shank |
펀치 홀더 섕크 |
Punch plate, rectangular |
펀치 고정판(직사각형) |
Punch plate, round |
펀치 고정판(원형) |
Punch quill holder |
퀼 펀치 홀더 |
Punch shank-fineblanking |
펀치 섕크(파인 블랭킹 금형용) |
Punching |
펀 칭(가공) |
Punching die |
펀칭 다이(금형) |
Purging |
퍼 징 |
대응 영어 |
용 어 |
Rack(unscrewing device) |
래 크 |
Redrawing |
재드로잉(가공) |
Reducing |
리 듀 싱(가공) |
Reeding |
리 딩(가공) |
Relief |
릴 리 프 |
Removable guide post |
분해형 가이드 포스트 |
Removable punch holder shank |
분해형 섕크 |
Removable punch holder shank, screw retention |
분해형 섕크(나사 죔형) |
Residual stress |
잔류 응력 |
Resin streak |
수지 얼룩 |
Restricted gate |
제한 게이트 |
Restriking |
리스트라이킹(가공) |
Retainer for ball-bearing cage |
볼 베어링 지지용 리테이너 |
Return pin |
리턴 핀 |
(return) spring |
리턴 스프링 |
Returning time |
체류 시간 |
Reverse drawing |
역드로잉 |
Rib |
리 브 |
Ring gate |
링 게이트 |
Ring riser |
링 라이저 |
Riser block |
라이저 블록 |
Riveting die |
리베팅 다이(금형) |
Rotational mould(for plastics) |
회전식 금형(플라스틱용) |
Rotational moulding ; rotomoulding |
회전 성형 |
Runner |
러 너 |
Runner balance |
러너 밸런스 |
Runner lock pin |
러너 로크 핀 |
Runner plate |
러너 판 |
Runnerless mould |
러너리스 금형 |
대응 영어 |
용 어 |
Scoring |
스코어 링 |
Scrap |
스 크 랩 |
Scrap cutter |
스크랩 커터 |
Seal ring |
기밀 링 |
Seam |
이음매, 심 |
Seaming |
시 밍(가공) |
Sectional die |
분할 다이(금형) |
Seizure |
녹아 붙음 |
Separating |
세퍼레이팅(가공) |
Setback |
세 트 백 |
Shaving die |
셰이빙 다이(금형) |
Shearing die |
전단 다이(금형) |
Shedder actuator plate |
셰더(작동) 판 |
Sheet |
시 트 |
Short bronze shoulder bush |
단붙이 짧은 청동 부시 |
Short shot |
미 성 형 |
Short shoulder bush |
짧은 단붙이 부시 |
Shoulder guide bush solid bronze |
단붙이 청동 가이드 부시 |
Shoulder guide post, press fit |
단붙이 가이드 포스트(압입식) |
Shoulder guide post with lock ring |
로크 링 단붙이 가이드 포스트 |
Shoulder leader pin |
단붙이 가이드 핀 |
Shoulder leader pin(shoulder guide pin) |
단붙이 가이드 핀 |
Shoulder leader pin or guide piller |
단붙이 가이드 핀 |
Shaw process |
쇼 프로세스 |
Shrinkage |
수 축 |
Side action die |
사이드 액션 다이(금형) |
Side gate |
사이드 게이트 |
Silver streak |
은 줄 |
Simmy(brehm trimming) die |
시미(트리밍) 다이(금형) |
Single action die |
단동 다이(금형) |
Single-cavity mould |
단일 캐버티 금형 |
Sink mark |
면 수축 |
Sizing |
사 이 징(가공) |
Sleeve |
슬 리 브 |
Sleeve ejector |
슬리브 이젝터 |
Slide |
슬라이드 |
Slide gib block or slide guide strip |
슬라이드 기브 블록 |
Slide or front face moving core |
슬라이드 |
Sliding insert |
슬라이딩 인서트 |
Slitting |
슬 리 팅(가공) |
Slot die |
슬롯 다이(금형) |
Slotting |
슬 로 팅(가공) |
Slow down |
슬로 다운 |
Slug |
슬 러 그 |
Slush mould(plastisols) |
슬러시 금형(몰드) |
Socket head stripper bolt |
스트리퍼 볼트 |
Softening point |
연 화 점 |
Spacer block |
스페어서 블록 |
Spindle(unscrewing device) |
스 핀 들 |
Split mould |
분할 금형(몰드) |
Spotting |
스 포 팅 |
Spring(loaded) stop |
스프링 스톱 |
Spring loaded core |
스프링 가압 코어 |
Spring plunger |
스프링 플런저 |
Sprue |
스 프 루 |
Sprue bush(zinc) or sprue bush |
스프루 부시 |
Sprue ejector pin bush(sprue ejector pin guide) |
스프루 이젝터 핀 부시 |
Sprue gate |
스프루 게이트 |
Sprue lock pin or sprue puller pin |
스프루 로크 핀 |
Sprue spreader of sprue pin(zinc) |
스프루 스프레더 |
Stack mould |
중첩 금형 |
Stacking |
스 태 킹 |
Stamping |
스 탬 핑(가공) |
Standard gate |
표준 게이트 |
Standard parts for mould & die |
금형 표준 부품 |
Steel rule die |
스틸 룰 다이 |
Sticking of part in the mould |
이형 불량 |
Stock guide nest |
소재 안내 네스트 |
Stock guide plate |
소재 안내 판 |
Stock guide rail |
소재 안내 레일 |
Stock guide roller |
소재 안내 룰러 |
Stock guide(pin) |
소재 안내(핀) |
Stock guide, round |
소재 안내(원형) |
Stock lifter pin, non round |
리프터 핀 |
Stock lifter pin, round |
리프터 핀(원형) |
Stop button |
스톱 버튼 |
Stop pin |
스 톱 핀 |
Strain |
변 형 률 |
Strain hardening |
변형 경화 |
Stress |
응 력 |
Stress crack |
응력 균열 |
Stress cracking |
응력 균열 |
Stress relief |
응력 제거 |
Stretch die |
스트레치 다이(금형) |
Stretch forming |
스트레치 포밍(가공) |
Striking |
스트라이킹 |
Stripper backing plate |
스트리퍼 배킹 플레이트 |
Stripper bush |
스트리퍼 부시 |
Stripper plate |
스트리퍼 판 |
Stripper plate, rectangular |
스트리퍼 판(직사각형) |
Stripper plate, round |
스트리퍼 판(원형) |
Stripper pressure pin |
스트리퍼 압력 핀 |
Stripper wear plate |
스트리퍼 웨어 판 |
Stripping |
스트리핑 |
Submarine gate |
서브머린 게이트 |
Support pillar |
서포트 필러 |
Support plate |
받 침 판 |
Swaging die |
스웨이징 다이(금형) |
Synthetic resin |
합성 수지 |
대응 영어 |
용 어 |
Tab gate |
태브 게이트 |
Table feed |
테이블 이송 |
Taper |
테 이 퍼 |
Taper dowel pin |
테이퍼 맞춤핀 |
Tappering |
테 이 퍼(가공) |
Tempering |
템퍼링(뜨임) |
Tensile strengh |
인장 강도 |
Tension |
인 장(력) |
Threaded bushing or threaded bush |
나사형 부시 |
Threaded die set coupling |
다이 세트 커플링(나사형) |
Three-plate mould |
삼단 금형 |
Three-point bending |
삼점 굽힘 |
Throat |
스 로 트 |
Throw |
스 로 |
Torsion |
비 틀 림 |
Transfer die |
트랜스퍼 다이(금형) |
Transfer mould(for rubber) |
트랜스퍼 금형(고무형) |
Transfer moulding |
트랜스퍼 성형 |
Transfer-thermosetting mould(for plastics) |
열경화성 트랜스퍼(플라스틱용) 금형 |
Trimmer |
트 리 머 |
Trimming die |
트리밍 다이(금형) |
Triple-action die |
삼동 다이 |
Tryout press or die spotting press |
금형 시험 프레스 |
Tunnel gate |
터널 게이트 |
Turret punch die |
터릿 펀치 다이(금형) |
Two step die |
투스텝 다이(금형) |
Two-color injection moulding |
이색 사출 성형 |
대응 영어 |
용 어 |
Undercut |
언 더 컷 |
Unrestricted gate |
비제한 게이트 |
Upper knockout rod with shedder actuator plate |
녹아웃 로드(셰더판 붙이) |
Upsetting |
업 세 팅 |
대응 영어 |
용 어 |
Vacuum forming |
진공 성형 |
Vacuum injection process |
진공 사출 공정 |
Vacuum mould(for plastics) |
진공 성형 금형(플라스틱용) |
Vacuum-cup lifter |
진공컵 리프터 |
Vent |
벤 트 |
Vent pin |
가스(공기) 빼기 핀 |
Void |
보 이 드 |
대응 영어 |
용 어 |
Waffle die |
와플 다이(금형) |
Warpage |
휨(변형) |
Washer, tapered guide post |
와 셔(테이퍼 가이드 포스트용) |
Water pipel connector joint |
냉각수 관 이음쇠 |
Water pope or water way |
냉각수 관 |
Wear pad |
마모 패드 |
Wedge lock |
쐐기 로크 |
Wedge type mould clamping system |
쐐기식형 체결 기구 |
Weld mark of weld line |
웰드 마크 |
Wiper block |
와이퍼 블록 |
Wiper forming |
와이퍼 포밍 |
Wiring |
와이어링 |
Wrinkling |
주름 발생 |
대응 영어 |
용 어 |
Yield point |
항 복 점 |
'금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형 재료(소재)의 종류와 용도 (0) | 2009.04.05 |
---|---|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이해 (0) | 2009.04.05 |
금형용 강재 및 용도 (0) | 2009.04.03 |
프레스금형 (0) | 2009.04.03 |
Surface finishes 면조도표 (VDI <-> Ra <-> Ry)alex (0) | 2009.04.03 |